포항시 도시재생사업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다.
사업의 핵심인 주민참여 조직이 아직 만들어지지 않은데다 도시재생지원센터의 경우 전문성이 없는 비전문가들이 비상근으로 근무하고 있어 주민들과의 소통 등에도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정종식(죽도 중앙·사진) 포항시의원은 최근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이같은 문제점들을 지적했다.
정 의원은 "쇠퇴하는 도시를 물리적 환경적으로 변화시켜 지역역량을 강화하고 새로운 기능을 부여하며, 주민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주도하여 지속적으로 혁신하는 도시를 목표로 전국의 많은 지자체가 도지재생사업에 참여하고 있다."고 밝혔다.
포항의 경우 중심시가지형으로 중앙동에 2018년~2022년까지, 1,415억의 재정이 투입되어 진행 중이고 경제기반형으로 송도 구항 일원에서 ICT 기반 해양플랫폼사업이 2019년~2024까지 1조 857억의예산이 투입돼 진행 중이며, 우리동네살리기형은 신흥동 모갈숲 안포가도 마을 등에서, 2019년~2021년까지 총 389억의 예산으로 진행 중이다.
그리고 11.15 지진으로 큰 피해를 입은 흥해지역에 부흥을 위한 특별재생사업이 2019~2023년까지 2,257억원의 예산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사업의 핵심인 주민참여(협동조합 등) 조직조차 아직 제대로 갖추지 못하고 있어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는 아닌지 심각하게 고민해 보아야 할 형편"이라고 지적했다.
정 의원은 "올해 기후변화 그린뉴딜 연구모임에서 목포, 군산, 신안 안좌도, 영덕, 부산, 거제, 장승포, 옥포, 강원도 정선, 고한, 태백시 등의 도시재생 현장지원센터를 방문하여 현장의 소리를 많이 듣고 성공하는 지역과 부실한 지역을 자세히 들여다보았다."며, "첫째, 성공하는 도시재생지원센터의 경우 현장지원센터장이 상근체제로 되어있고 젊고 유능한 전문가들이 상근하면서 지역주민들과 24시간 밀착 소통을 하고 있었다."고 말했다.
그러나 포항시는 전문성이 없는 퇴직 공무원 및 비전문가들이 비상근으로 현장지원센터장으로 근무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둘째, 도시재생지원센터 내의 기초센터와 현장지원센터 간의 고유 기능과 역할을 재정립하고 그에 따른 효율적 업무분장으로 사업성과를 철저히 점검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특히 "총괄코디네이터 역할과 겸직하고 있는 현장지원센터장은 현장의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할 수 있도록 비상근이 아닌 상근으로 전환하여 현장지원센터가 내실 있게 운영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셋째, 주민주도형 주민자치 조직이 사회적 관리 협동조합을 만들어 스스로를 돕고 수익사업의 성과도 함께 만들며 비전을 가지고 작은 도시라도 생기와 희망을 불어 넣을 수 있는 마을공동체 활성화의 기반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마지막으로, 도시재생 지원센터는 사회적 경제조직의 지원기관으로서 철저히 현장을 기반으로 공모사업 기획단계부터 지역의 실정이 제대로 반영된 중장기계획과 활성화계획이 수립될 수 있도록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임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재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