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간경북신문=이종팔기자]
경북도는 농·특산물 판로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농, 고령농, 여성농 등 유통 취약농가를 위해 ‘농식품유통취약농가 판로확대 지원사업’을 추진해 농가 활력 제고에 나섰다.
경북도의 농식품유통취약농가 판로확대 지원사업은 취약농가 30호 이상이 참여하는 마을(또는 직매장)에 농가조직화, 교육, 온라인 판매망 구축, 포장재 등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특히, 마을을 대표 하는 유통도우미가 농산물 순회수집, 포장, 온라인 판매, 고객관리 등 유통전반을 책임지고 있어 농가들로부터 큰 호응을 받고 있다.
2020년 시범사업 이후 2년 차를 맞으면서 참여마을과 농가 수, 매출액 등 큰 폭의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첫해인 2020년에는 20개소, 648농가, 매출액 28억으로 시작해 지난해에는 24개소, 1042농가의 참여로 전년 대비 36% 증가한 38억원의 매출 달성을 기록했다.
이에 경북도는 사업 내실화를 위해 유통 취약농가 관리시스템을 구축해 농가와 판매상품 정보 관리, 정산업무 등 체계적 추진과 더불어 고향마을의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농가참여 홍보영상을 제작·홍보에도 나서고 있다.
또, ‘이마트’에 여름과일 판매촉진 행사 참여 등 오프라인 연계 판매망 구축뿐만 아니라 경북 농특산물 쇼핑몰‘사이소’에 특별관(이웃사촌행복마을)을 구성하고, 농가가 참여하는 라이브커머스 방송 등으로 온라인 판로를 개척하며 이를 통해 참여농가 수와 매출액이 증가하면서 농가 만족도도 높게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대표 사례로 안동 북후면(농부장터)에서는 현재 35농가가 참여해 쌀, 사과, 고춧가루, 마 등을 판매하고 있다.
이에 농부장터 강상구 유통도우미는 “생강 값 폭락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을 때 오프라인 판매 연계 및 사이소, 네이버 등 온라인 판매 지원으로 큰 힘이 됐다”며 감사를 전했다.
이에 김종수 경북도 농축산유통국장은 “대형화·규모화 된 유통 생태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판로 개척이 필요하나 소농이나 고령농가의 독자적 농산물 판매는 한계가 있다”며, “앞으로 어렵게 생산한 농산물이 판매에 어려움을 겪는 일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