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국채보상운동 주창자 서상돈이 친일?..
사회

국채보상운동 주창자 서상돈이 친일?

운영자 기자 입력 2015/10/11 19:04 수정 2015.10.11 19:04
진보성향 민족문제연구소, 서상돈 선양사업 문제 제기

 지난 9월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의 부친 김용주(1905~1985)씨에게 친일행적이 있다고 자료를 공개했던 진보성향 민족문제연구소 대구지부가 대구시가 추진하고 있는 국채보상운동기념사업과 서상돈 선생 선양사업에 대해서도 문제를 제기하고 나섰다.
서상돈 선생은 민족의 자강 의식을 고취하고 있던 출판사(광문사)의 부사장으로 1907년 2월 21일자 '대한매일신보'에 "국채 1300만원은 대한제국의 존망에 직결되는 것으로 2천만 인민들이 3개월 동안 금연하고 그 대금으로 국고를 갚자"는 발기 취지를 밝혔다.
취지문을 발표한 뒤 국채보상운동 발기가 대한매일신보·제국신문·만세보·황성신문 등에 보도되자 부녀자들과 노동자, 인력거꾼, 기생, 백정 등 하층민들까지도 적극 참여해 국채보상운동은 범국민적 운동으로 전개되어 나갔다.
대구시는 '대구 정체성 찾기 범시민 운동'의 일환으로 국채보상운동과 2.28 민주화 운동을 대구 2대 시민정신으로 규정하고 국채보상운동 기록물의 유네스코 세계기록 유산 등재 추진과 국채보상운동 재조명 작업을 활발히 진행해왔다.
하지만 민족문제연구소대구지부(민문연대구지부)는 9일 배포한 성명을 통해 "국채보상운동 관련 자료를 유네스코 기록유산으로 등재해 세계에 널리 알리는 일은 분명 그 의미가 크다"면서도 "민족운동사와 역사적 차원에서 제대로 재평가 되지 못한 채 무분별하게 선양사업이 전개되고 있는데 대해 우려를 표한다"고 밝혔다.
민문연대구지부는 특히 대구시가 지난 2006년 대구의 대표 문화인물로 선정하고 고택을 복원해 대구 근대골목의 핵심코스로 시민과 관광객들에게 알리고 있는 서상돈 선생과 그 집안의 친일행적을 거론하며 선양사업의 중단을 촉구했다.
민문연대구지부는 서상돈 선생에 대해 "국채보상운동을 발의한 공적도 있지만 자신의 부를 축적하기 위해 일제와 협력한 행적이 곳곳에 드러나고 있다"며 "관계 기관·단체의 객관적인 공동 연구 조사 이전의 일방적 선양작업을 중단하라"고 주장했다.
민문연대구지부는 서상돈 선생이 일제의 지방경제 수탈을 위한 대구 농공은행의 대주주이자 감사였으며 일제의 화폐정리사업 당시 엄청난 규모의 특혜를 받았고 일왕의 포상 경력, 실체가 불분명 독립협회 간부 경력 등을 열거했다.
또 서상돈 선생의 아들이 20년 동안 총독부 자문기관인 중추원 참의를 역임하면서 일본어 보급에 나서는 등 민족 친일행위의 표상으로 해방이후 반민특위에 체포됐던 인물이라고 지적하며 "서상돈이 대구에서 구국운동의 아이콘이 되어서는 안 될 이유"라고 덧붙였다.
국채보상운동기념사업회 관계자는 "서상돈 선생의 친일 여부와 상관없이 국채보상운동을 널리 알리는 과정에서 처음 운동을 발의한 인물을 얘기하지 않을 수 없다"며 "서상돈 선생이 타개한 것이 1913년인데 친일을 할 시간이 있었는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사업회는또 "선생 사후에 일으난 아들의 친일행적을 이유로 먼저 타개한 부친을 '친일'과 연관 짓는 것은 또 다른 연좌제"라며 "서상돈 선생에 대해 일방적인 친일주장은 유감이며 역사학자 등의 검증을 거쳐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민문연대구지부는 오는 13일 오전11시 대구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시작으로 매주 수요일 대구지역 곳곳에서 대학생을 비롯한 실천단을 통해 서명 및 홍보를 진행하고 10월 말~11월 초경 '서상돈 영웅 만들기 반대와 대구 친일 인물 관련 시설 철거를 위한 민족문제 포럼'을 개최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