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수원 "인체영향 없어" & 지역주민들 "영향 줄 수 있어&qu
월성원전 주변지역에 방사성물질인 삼중수소의 영향에 대한 논란이 뜨겁다.
민간환경감시기구가 동국대 예방의학과, 조선대 원자력공학과, 한국원자력의학원에 의뢰해 조사한 삼중수소 영향평가 결과를 둘러싸고 "극미량이어서 인체영향 없다", "아무리 적은 양이라도 영향을 줄 수 있는 것 아니냐" 등 여러 가지 주장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원전 주변지역 주민들은 다른 지역에 비해 삼중수소에 많이 노출되는 점을 우려하는데 반해, 한국수력원자력은 주변지역이나 타 지역이 기준치의 0.1%도 안되는 수준이라 인체 영향을 언급할 수준이 아니라고 평가하고 있다.
특히, 지난 8월 경주시 양북면 복지회관에서 열린 삼중수소 영향평가 주민설명회에서는 3개 연구기관이 연구내용과 결과치만 발표하고 수치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나 인체 영향을 명확히 설명하지 않아 주민들의 반발을 사기도 했다.
'월성원전 주변주민 삼중수소 영향평가'는 지난해 6월부터 올해 8월까지 동국대, 조선대, 원자력의학원 등 3개 기관이 공동으로 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월성원전 주변지역 주민 250명과 대조군으로 경주시내 주민, 울진원전 주변지역 주민 각 125명씩 총 250명을 대상으로 소변검사를 통해 삼중수소 농도를 측정했으며 이중 50명을 대상으로 염색체 이상조사를 실시했다.
조사결과 주변지역 주민들의 평균 삼중수소 농도는 5.50 Bq/L(1리터당 베크렐)로 울진원전 주민 4.29 Bq/L, 경주시내 주민 3.21 Bq/L보다 약간 높게 나왔다. 또 월성원전 주변지역 주민의 경우 89.4%에서 삼중수소가 검출돼 울진 40.8%, 경주시내 18.4%에 비해 원전주변 주민들이 삼중수소에 많이 노출되는 것으로 나왔다.
이에 대해 김종욱 월성원전 방재대책팀 차장은 "발전소에서 멀어질수록 삼중수소 검출률과 검출농도가 적어진다는 것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라며 "중요한 것은 삼중수소 농도가 기준치와 비교해 어느 수준이며 인체 영향이 있는가의 문제"라고 말했다. 권경률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