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관측 등 전자지도 기반 실시간 통합 관리 체계화
국민안전처는 오는 2018년까지 범정부 재난안전 정보체계 구축에 나선다고 11일 밝혔다.
재난 발생시 의사결정권자가 실무자 보고 외에 모바일·관측 정보와 폐쇄회로(CC) 영상 등 전자지도 기반의 실시간 통합 상황관리가 가능하도록 체계화한다.
예방·대응·복구 등 재난관리 전 단계를 종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로 분산돼 있는 총 28개의 재난관리 포탈도 통합·연동한다. 기관과 개인으로 구분된 현장대응 매뉴얼과 지휘체계에 맞춰 정보시스템은 개편한다.
또 민간과 기관에서 제각각 관리되고 있는 민간자원봉사자·응급복구장비·방역물자 등 인·물적 재난관리자원을 공동 활용하고, 모든 재난관리에 필수 적용되는 교통대책 등 13개 협업체계를 관계기관 별로 정립하기로 했다.
아울러 지난 2013년 수립한 자연재난 중심의 정보화전략계획 결과에 사회재난 영역을 추가해 중장기 계획을 세우고, '재난정보공동이용센터'를 통해 자연·사회 재난정보를 개방·공유한다.
범정부 재난안전 정보체계 구축 완료 시점은 2018년 말이다.
박인용 장관은 "이 체계가 구축되면 정확한 상황 판단과 신속한 의사결정, 유기적 협업대응이 가능해져 효과적으로 재난을 대비·관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대(對)국민 재난안전 서비스도 향상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