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용 경희대 교수, 공정성 확보 필요 주장
디지털 음원사이트 실시간 차트의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추천곡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김민용 경희대 교수는 한국음악레이블산업협회(LIAK)가 13일 오후 3시 상암동 디지털 매직스페이스에서 연 '디지털 음악산업 발전 세미나'에서 "음원사이트의 '음악 추천'은 특혜 시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며 이 같이 밝혔다.
이날 발제자로 나선 김 교수는 '음악서비스 추천곡 제도 연구'에서 멜론·벅스·소리바다·엠넷닷컴·올레 지니 등 5대 주요 음원사이트를 실증 분석한 결과 "추천은 낙하산과 특혜의 동의어"라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공정성 훼손이 심각하고 끼워팔기로 랭킹차트가지 왜곡된다"는 것이다. 전체듣기를 하면 굳이 추천곡을 선택하지 않아도 소비자가 자연스레 듣게 되는 것이 끼워팔기다.
그러면서 추천곡은 평균적으로 2주일 동안 차트 내에서 20~30위권에 머무는 반면 비추천곡은 평균적으로 1주일 이내에 50위권으로 이탈한다고 알렸다. 그는 한 음원당 차트에 머무는 평균 수명이 15일 가량이라며 추천곡은 그 동안 누릴 것을 다 누린다고 짚었다.
추천곡 제도를 없애지 못한다면 "유통사가 마케팅 프로모션의 수단이라는 점을 인정하고 선정원칙과 선정과정을 공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추천곡은 랭킹차트가 아닌 곳에서 허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결국 추천곡 제도의 개선은 실시간 차트의 공정성을 바로 잡기 위한 조치라는 것이 그의 판단이다.
김 교수는 또 "실시간차트에서 반짝 1위는 또 다른 수입원을 좇는 길이 될 수 있다"며 "결국 음원사재기 유인을 제공하는 방편이 된다"고 짚었다.
저렴한 가격으로 음원을 들을 수 있는 스트리밍 서비스로 인해 "저비용으로 고수익을 낼 수 있는 음원사재기 시도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명확히 처벌할 수 있는 법안이 없는 '저위험 구조'도 음원사재기를 부추긴다"고 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