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새해가 밝으면 꼭 등장하는 계획 중 하나가 금연과 다이어트다. 그러나 이 두 가지는 대부분 작심삼일로 끝나는 경우가 다반사다. 스트레스 지수가 높은 직장인들이 이를 실행에 옮기는 게 말처럼 쉽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금연 계획은 철저히 이행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담배의 유해물질이 구강건강을 망치는 주된 원인이라는 조사결과가 발표됐다.
보건복지부가 만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2014년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에 따르면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구강건강이 나쁜 인구의 분율은 흡연자 42.6%,
비흡연자 31.2%로 흡연자가 약 11% 포인트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관련, 치과전문의 신태운 믿을신치과 원장은 “담배에는 4700여 종의 유해물질이 함유돼 있으며, 이 중 발암물질은 무려 69종에 달한다. 특히 니코틴은 칼슘의 흡수를 방해하고 혈관을 좁혀 성장판을 빨리 닫히게 하며, 장기간 흡연 시 입 냄새, 충치, 잇몸질환, 인후염, 가슴 통증, 폐기종 등 각종 구강질환과 호흡기질환을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고 말했다.
흡연자는 비흡연자에 비해 치주질환에 걸릴 확률이 높고, 지독한 입 냄새(구취)를 풍겨 대인관계를 망칠 수도 있기 때문에 조기에 치료하는 것이 좋다.
믿을신치과 측에 따르면 치주질환이 악화될 경우 치아가 저절로 빠지기도 하고, 염증이 잇몸과 잇몸 뼈, 치아 뿌리 끝까지 확산돼 결국 잇몸을 절개한 후 염증 부위를 긁어내는 시술이 불가피하다. 때문에 금연을 생활화하고, 정확한 검진을 통해 체계적인 치료를 받아야 한다.
신 원장은 “흡연으로 인해 입 냄새가 심할 경우 스케일링 치료가 도움이 될 수 있다. 스케일링은 치석의 정도, 연령, 흡연 여부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보통 1년에 2회 정도가 가장 적당하며, 흡연자인 경우에는 3∼6개월에 한 번씩 받는 것이 좋다”고 강조했다.
또 음식물 섭취나 흡연 후에는 구강청정제 또는 따뜻한 물로 입 안을 자주 헹궈주고, 양치질, 치실, 치간 칫솔 사용을 생활화하는 것이 구강건강에 도움이 된다.
마지막으로 그는 “만 20세 이상의 성인이라면 스케일링 치료에 대한 의료보험 적용 혜택을 연 1회 받을 수 있다. 스케일링을 받고 난후 커피나 카레 등과 같이 색소가 많이 들어간 음식은 치아변색을 유발하기 때문에 피해야 하며, 치아염증 예방을 위해 흡연 및 음주 또한 금해야 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