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치매 요인 음주… 발병 위험 7.29배 높다..
사회

치매 요인 음주… 발병 위험 7.29배 높다

운영자 기자 입력 2014/06/24 20:57 수정 2014.06.24 20:57

 정부가 '음주'를 치매를 발생시키는 주요 위험요인으로 지목하고 공공시설에서의 음주와 주류 판매를 금지하고 주류 광고 금지 확대 등을 추진한다.
또 최근 발생한 '장성 효사랑요양병원' 참사를 계기로 요양병원과 노인요양시설의 시설·인력 등 안전 기준을 강화하기로 했다.
보건복지부 24일 제27차 국무회의에서 이러한 내용의 '치매 예방 및 돌봄체계 강화를 중심으로 한 생활 속 치매 대응전략을 보고했다.
복지부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으로 치매노인은 57만명으로 전체 노인인구 613만명의 9.4%에 이르렀다. 더욱이 치매환자는 고령화 속도보다 더 빠르게 증가할 전망으로 2024년에는 전체 어르신 984만명중 10.2%인 101만명이 치매에 걸릴 것으로 추산됐다.
이에 정부가 치매를 일으키는 각종 위험 요인을 선제적으로 관리하기로 한 것이다.
먼저 각종 주류 규제를 추진한다. 음주는 치매를 일으키는 주요 위험요인으로 지적되지만 우리나라는 음주 문화가 너무 관대하는 판단이다.
복지부에 따르면 술을 자주 마시는 사람은 치매 발병 위험이 7.29배 높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이와 관련 대학교 등 공공시설에서의 음주와 주류 판매를 금지하고, 대중교통수단·옥외광고물 주류 광고 금지 및 07시~22시 TV·라디오 주류 광고 금지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다음달부터 이러한 내용을 담은 건강증진법 개정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또 치매의 주요 위험요인인 운동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60대 이상 노인을 위한 치매예방에 도움이 되는 운동법도 개발(8월)해 지역사회 경로당·노인복지관 등에 보급할 계획이다.
홀로 사는 어르신을 대상으로는 말벗이 되어드리는 '노인 돌봄 기본서비스', '독거노인 사랑잇기', '독거노인 친구만들기' 사업을 지속 확대하고 화재감지·가스누출 센서 등 응급장비를 설치해 위급상황에 대비한다.
아울러 조기 발견을 위해 보건소·국가건강검진의 치매 검사를 강화하고 손쉽게 치매검사를 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용 앱과 pc버전 프로그램 '치매체크'를 국민들께 알릴 예정이다
이밖에 장성화재사고를 계기로 치매환자 등 스스로 대피하기 어려운 어르신들이 주로 이용하는 노인요양시설·요양병원의 시설·인력기준을 강화하고 안전점검을 확대하는 안도 마련했다.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