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아베, 관계개선 앞서 반성부터 하라..
사회

아베, 관계개선 앞서 반성부터 하라

운영자 기자 입력 2014/07/27 20:19 수정 2014.07.27 20:19
사설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지난 25일“한·일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하겠다”는 구두 메시지를 박근혜 대통령에게 전했다.

박 대통령은 방한 중인 마스조에 요이치 도쿄도지사를 접견한 자리에서 이 같은 말을 전달받고“올바른 역사인식을 바탕으로 진정한 신뢰 관계를 쌓아야 한다”는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박 대통령이 청와대에서 일본 정치인을 만난 것은 작년 2월 취임 때 아소 다로 부총리를 특사로 만난 이후 처음이다.

마스조에 지사는 방한에 앞서 아베 총리를 만나고 말을 전했으니 사실상 일본 특사다.

박 대통령은“위안부 문제는 두 나라 사이 문제뿐 아니라 보편적인 여성 인권에 관한 문제”라며“진정성 있는 노력으로 잘 풀어나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이 고노담화 훼손 시도, 집단자위권 공식화 등 일본의 잇단 우경화 행보에 경고를 보내고 관계 정상화를 위한 전제조건을 밝힌 셈이다.

아베는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한다고 한 만큼 위안부 등 과거사 문제를 비롯한 양국 현안에 대해 전향적으로 화답해야 한다.

그래야 어렵사리 물꼬를 튼 대화가 진전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일본 지도자들의‘정상회담 희망’수사(修辭)나 한국 정부의 관계 회복 필요성에 대한 상황인식만으로 양국 관계가 회복되기는 어렵다.

관계 정상화를 위해서는 아베 총리를 비롯한 일본 정부 지도자들의 진정성 있는 태도 변화가 선행돼야 한다는 얘기다.

한일 관계의 실타래를 꼬이게 한 것은 다름 아닌 아베 총리와 일본의 주요 정치인들이다. 그들의 노골적인 역사 수정주의 태도와 언행이 우리 국민을 뿔나게 한 것이다. 화를 돋워 놓은 뒤 한마디 사과도 없이 화해 하자고 하는 것은 남의 뺨을 때리고 나서 아무일도 없었다는 듯 악수하자며 손을 내미는 것과 다를바 없다.

한·일 신뢰 회복에는 일본 정치인들의 반성이 필요하다.
 아베 정권이 진정으로 한·일 관계 정상화의 의지가 있다면 유엔의 권고를 존중하는 자세부터 보여야 한다.

그것이 일을 푸는 순서다.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