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특별한 행사 없이 담담히 보내
‘김정은 건강이상설’ 등 영향도
청와대는 4·27 판문점 공동선언 2주년인 27일 특별한 행사 없이 조용히 보냈다. 문재인 대통령이 올해 신년사와 3·1절 기념사를 통해 북한에게 남북 5대 협력 방안을 제안했지만 침묵으로 일관하는 북한의 상황을 의식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번 2주년은 지난해 4·27 판문점 선언 1주년 때와 비교했을 때 더 차분하게 이뤄졌다. 문 대통령은 지난 1주년 당시 판문점에서 진행된 통일부 주관의 공식 기념식 행사에 짧은 영상 메시지를 보냈다.
이날 통일부와 국토교통부 주관으로 동해북부선 추진 기념식이 열렸지만 문 대통령은 별다른 메시지를 보내지 않았다. 대신 수석·보좌관 회의 주재를 통해 남북 보건협력을 고리로 남북 협력 의지를 다시금 내비쳤다.
문 대통령은 회의에서 “가장 현실적이고 실천적인 남북 협력의 길을 찾아 나서겠다”며 “코로나19의 위기가 남북 협력에 새로운 기회일 수 있다. 지금으로서는 가장 시급하고 절실한 협력 과제”라고 언급했다.
또 “코로나19에 공동으로 대처하는 협력에서 시작하여 가축 전염병과 접경지역 재해 재난, 또 그리고 기후환경 변화에 공동 대응하는 등 생명의 한반도를 위한 남북 교류와 협력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길 바란다”며 남북 간 철도 연결 추진 의지도 거듭 표명했다.
문 대통령은 또 “코로나 상황이 안정되는 대로 이산가족 상봉과 실향민들의 상호 방문도 늦지 않게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청와대가 이처럼 판문점 선언 2주년을 조용하게 치를 수밖에 없는 것은 답보 상태에 놓인 남북 관계와 관련이 있다.
▲남북 철도·도로 연결 ▲남북 접경지역 협력 ▲2032년 올림픽 남북 공동개최 ▲비무장지대(DMZ) 유네스코 세계유산 공동 등재 ▲김정은 국무위원장 답방 등 올해 신년사를 통해 문 대통령이 남북 협력 추진 의사를 강력히 밝혔지만 북한은 어떤 반응도 내놓지 않고 있다.
또 현재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신변을 두고 각종 소문이 무성한 것과도 무관치 않아 보인다. 외신을 중심으로 김 위원장 건강 이상설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청와대는 “특별한 동향이 포착되고 있지 않다”는 입장을 반복하며 부인하고 있는 상태다.
이 때문에 적극적인 남북 협력 의지를 내비치는 데에 일부 부담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문 대통령 역시 4·27 판문점선언 2주년에 대한 의미와 방향성을 제시하는 선에서 대북 메시지를 마무리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4·27은 어느 때보다 특별한 의미를 가질 수밖에 없다”며 “게다가 김 위원장의 건강을 두고 각종 소문이 무성하기 때문에 문 대통령의 메시지에 시선이 쏠리는 것은 당연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북한으로부터 적극적인 호응이 없는 상황에서 기존에 제안했던 남북 협력 구상을 재확인하는 차원의 메시지를 낼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다만 올해가 6·15남북공동선언 20주년을 맞이한다는 점에서 차후 남북 관계 개선을 위한 ‘새로운 제안’이 나올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문 대통령은 신년사에서 “평화통일의 의지를 다지는 공동행사를 비롯하여 김 위원장의 답방을 위한 여건이 하루빨리 갖춰질 수 있도록 남과 북이 함께 노력해 나가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이날 동해북부선 철도 건설 추진 기념식을 열고 남북 철도 협력 재추진 의지를 강조했다. 정부는 일단 남측 구간만이라도 연결하는 사업을 진행해 북측의 호응을 이끌어내겠다는 계획이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