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소비자상담피해구제율 높다..
대구

소비자상담피해구제율 높다

운영자 기자 입력 2015/08/06 17:22 수정 2015.08.06 17:22
대구시, 직접 중재 구제율 21.3%...전국평균보다 11%P나
 대구시는 관내 「1372 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2015년 상반기 소비자상담 7,319건에 대한 분석결과를 발표했다.
 「1372 소비자상담센터」는 공정거래위원회에서 구축해 민·관 참여로  운영 중인 전국통합 소비자상담센터로서 현재 대구에는 ‘대구광역시 소비생활센터’와 4개 소비자단체에서 총 6명의 상담원이 활동하고 있다.
 ‘15년 상반기 동안 대구시 「1372 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소비자  상담은 총 7,319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8.8%(703건↓) 감소했으며, 같은 기간 전국의 소비자상담 건수도 417,384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3.8%(16,369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담결과 유형으로는 관련 법률·규정 등 정보제공을 통한 일반상담이 5,735건(78.4%)으로 가장 많았고, 사업자와의 직접 중재를 통한 피해구제가 1,560건(21.3%)이었으며, 법률적인 다툼이나 중재가 불성립해 한국소비자원에 이관한 경우는 24건(0.3%)이었다.
 특히 직접 중재를 통한 피해구제율은 21.3%(1,560건)로 전국소비자상담피해구제율(10.3%)보다 11.0%P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피해구제를 위한 소비자들의 적극적인 대응과 함께 대구시 등 관련 기관·단체의 소비자권익증진 노력이 더해진 결과이다.
 피해구제유형은 환급형태가 348건(22.3%)으로 가장 많았으며, 부당행위시정 215건(13.8%), 계약이행 190건(12.2%), 계약해제·해지 135건(8.7%), 수리·보수 103건(6.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상담이유로는 계약해제·해지에 관한 문의가 2,471건(33.7%)으로 가장 많았으며, A/S 및 품질 관련 1,888건(25.8%), 소비자분쟁해결기준 등 단순문의와 상담 1,181건(16.1%), 계약불이행 689건(9.4%
), 사업자의 부당행위 609건(8.3%) 등의 순이었다.
 판매유형을 살펴보면 일반판매가 4,695건(64.1%)로 가장 많았고, 특수거래는 2,220건(30.3%)이었다. 특수거래의 세부내역으로는 전자상거래 926건(12.7%), TV홈쇼핑 502건(6.9%), 방문판매 381건(5.2%) 등의 순이었으며, 백수오 사건에 따른 TV홈쇼핑 관련 상담이 전년 동기 대비 161.5%(310건↑)나 급증했고, 다단계 판매 관련 문의도 30.4%(7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품목별로는 대분류 상담에 있어 전년 동기와 마찬가지로 의류·섬유 신변용품이 997건(13.6%)으로 최다 접수되었고, 가짜 백수오 사건으로 식료품·기호품 상담이 전년 동기 대비 96.2%(382건↑)나 급증했다. 반면 정보통서비스·기기는 매년 상반기 기준 ‘12년 1,148건→’13년 1,847건→‘14년 1,670건→’15년 1,172건의 상담이 접수되어 작년부터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올 상반기에 전년 동기 대비 29.8%(498건↓)나 감소한 것은 ‘14년 10월부터 시행된 「단말기통신법」의 영향인 것으로 해석된다.
 소분류 상담품목으로는 백수오 사건의 영향으로 백수오 제품이 448건 (6.1%)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휴대폰·스마트폰 335건(4.6%), 이동전화서비스 221건(3.0%), 상조회 191건(2.6%) 등의 순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콘도회원권과 국외여행이 각각 98건(1.3%), 123건(1.7%)이 접수돼 전년 동기 대비 21.0%(17건↑), 19.4%(20건↑) 증가한 반면, 헬스장·휘트니스센터 102건(1.4%), 이동전화서비스 221건(3.0%), 휴대폰·스마트폰 335건(4.6%)이 접수돼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1.5%(47건↓), 28.5%(88건↓), 24.0%(106건↓)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분쟁이 발생하면 국번없이『1372』또는 대구시 소비생활센터  (☎ 053-803-3224~5)에 바로 도움을 요청하면 된다.※ 상세내용은 대구광역시 소비생활센터 홈페이지(www.daegu.go.kr/Sobi/) →「소비자교육」→「교육자료방」→ ‘2015년 상반기 대구광역시 소비자상담 분석 결과’에서 확인가능하다.
김흥규기자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