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국조 등 이견
여야 원내지도부가 16일 하반기 국회 원구성 등과 관련한 협상을 벌였지만 합의도출에 실패했다. 6월 국정감사 실시 시기와 세월호 침몰사고 국정조사 기관보고 시기의 중복 문제가 걸림돌이 됐다.
새누리당 이완구 원내대표와 새정치민주연합 박영선 원내대표 등 여야 원내지도부는 이날 오후 2시께 국회에서 만나 약 3시간여에 걸쳐 논의를 이어갔지만 고성이 오가는 등 치열한 협상 끝에 합의안을 도출해내지 못했다.
하반기 국회 원구성을 비롯해 상임위원회 법안심사소위원회 복수화, 국회 정보위원회의 일반상임위원회화,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상시운영, 6월 국정감사 실시 등 쟁점을 놓고 줄다리기가 이어졌다.
오후 4시20분께는 회담장인 새정치연합 원내대표실 밖 복도까지 고성이 들리기 시작하더니 이완구 원내대표가 "내가 할 만큼 했어. 왜이래"라고 호통을 쳤다. 이에 박영선 원내대표는 "지금까지 양보하신 게 뭐가 있어요"고 응수했다.
이 과정에서 새누리당 김재원 원내수석부대표가 자필로 쓴 협상내용을 반영한 문건을 기초로 큰 틀의 합의를 이루는 데 성공했지만 세부적인 내용에서는 최종 타결에 이르지 못했다.
줄다리기의 결과 법안심사소위원회 복수화, 정보위 일반상임위화, 예결특위 상시운영 등에선 의견 접근이 이뤄졌다. 그러나 세월호 국정조사 기관보고와 6월 국정감사가 마지막 걸림돌이 됐다.
새누리당은 6월 국정감사를 오는 23일부터 시작하자고 제안했다. 이날은 새누리당이 주장해온 세월호 국조 특위 기관보고 개시 시점이다. 결국 새누리당은 세월호 국조 특위 기관보고와 6월 국감을 병행하자는 제안을 내놓은 것이다. 이에 새정치연합은 반발했다.
국감 업무보고 일정과 증인 채택을 위해선 상임위원회별로 여야협상을 해야하는 데 다음주까지 이 작업을 마무리한다는 게 불가능하다는 게 새정치연합의 주장이었다.
또 브라질 월드컵 조별예선이 진행되는 시기(오는 27일까지)에 국감과 함께 세월호 국조특위 기관보고까지 함께 실시할 경우 모든 일정이 부실화될 가능성이 있다는 게 새정치연합의 우려였다.
이 때문에 새정치연합은 국감을 이달말이나 다음달 초에 실시한 뒤 세월호 국조 특위 기관보고를 국감 종료 후 실시하자는 제안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약 3시간에 걸친 협상에도 이견을 좁히지 못한 양측은 오후 5시15분께 헤어졌고 향후 원내수석부대표간 전화통화를 통해 협상을 이어가기로 했다. 오는 17일 열릴 세월호 국조 특위 간사회의와 전체회의가 원구성 협상 타결의 물꼬를 트는 역할을 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서울 여태식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