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영화속 언어표현, 구체적 등급기준 필요..
사회

영화속 언어표현, 구체적 등급기준 필요

운영자 기자 입력 2014/06/17 21:19 수정 2014.06.17 21:19
청소년 관람불가 영화뿐 아니라 청소년 관람가 영화에서도 비속어와 욕설이 난무해 청소년의 언어생활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향후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영상물등급위원회가 주최한‘영화 속 언어표현 개선 토론회’가 지난 16일 오후 서울 태평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렸다.
유홍식 중앙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가 사회를 본 토론회에는 윤영민 고려대 미디어학부 교수, 노영란 영화등급분류소위원회 위원, 영화평론가 김시무, 신강호 대진대 연극영화학부 교수, 이경화 학부모정보감시단 대표, 이현숙 탁틴내일 대표가 참석했다.
윤영민 고려대 미디어학부 교수는 “청소년의 40.9%가 영화 등 대중매체를 통해 욕설을 습득하고 있다”며 영화 속 언어 표현 개선의 당위성을 주장했다.
윤 교수는 2013년 1~12월 등급분류를 받은 극영화 가운데 전체관람가, 12세이상 관람가, 15세이상 관람가 등급의 한국영화 77편의 시나리오를 검토해 욕설의 빈도와 강도를 조사한 분석자료를 제시하며“전체관람가 등급을 받은 영화에서는 평균 24회, 12세 이상 관람가 등급 영화에서는 평균 20회, 15세 이상 관람가 등급 영화에서는 평균 76회 욕설이 섞인 대사가 나온다”고 밝혔다.“청소년이 욕설에 무방비로 노출돼 있다”는 것이다. “특히 학교·청소년 소재 영화에서 욕설 사용이 더 높다”며“청소년이 욕설을 많이 한다는 고정관념을 일상화하고 반복 재생한다는 점에서 욕설과 관련된 등급 결정에 세부적인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영화 제작사와 감독들은 이런 거친 표현을 자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노영란 영화등급분류소위원회 위원은 미국의 영화등급 분류 방법와 우리나라의 것을 비교하면서“영상물등급위원회의 대사 관련 영화등급분류 기준이 더 구체화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우리나라의 대사 관련 영화등급분류 기준은 전체관람가, 12세이상관람가, 15세이상관람가, 청소년관람불가, 제한상영가 등 5개로 나뉜다. 미국은 전체관람가를 의미하는 G등급, 부모 지도하 전체관람가인 PG등급, 13세 미만 보호자 지도 요망을 뜻하는 PG-13등급, 17세 미만 보호자 동반관람가인 R등급, 17세 이하 관람불가를 뜻하는 NC-17등급이 있다.
“미국의 PG-13(13세미만 보호자 지도 요망) 등급 같은 경우‘성적으로 파생한 거친 언어는 최소한 13세 이상 관람가부터 처음으로 1회만 허용함’과 같이 구체적으로 명시돼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12세이상관람가 등급의 기준은 ‘청소년의 바른언어 습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정도로 추상적으로 적혀있다”고 짚었다.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