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朴대통령, 오늘 신년인사회…野지도부 불참..
정치

朴대통령, 오늘 신년인사회…野지도부 불참

운영자 기자 입력 2016/01/04 15:09 수정 2016.01.04 15:09

 

 



박근혜 대통령은 4일 신년인사회를 갖고 새해 국정운영을 본격적으로 시작한다. 

 

이날 오후 3시 청와대에서 열리는 신년 인사회에는 정의화 국회의장과 양승태 대법원장, 박한철 헌법재판소장, 황교안 국무총리, 이인복 중앙선거관리위원장 등 5부요인과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최고위원 등 여당 지도부 및 경제 5단체장 등 200여명이 참석한다.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대표와 이종걸 원내대표는 불참의사를 밝혔다. 정연국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오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지역일정, 개인 사정 등으로 불참을 통보받은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대통령 신년인사회에 야당 지도부가 불참한 것은 박 대통령 취임 이후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해의 경우 문희상 전 비상대책위원장이, 2014년은 김한길 대표가 각각 참석한 바 있다.

 

다만 야당 지도부의 불참 속에서도 박 대통령은 경제활성화 법안과 노동개혁 5개 법안, 테러방지법, 북한인권법 등 핵심 법안 처리를 다시 한번 촉구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동안 수차례 처리를 호소해온 이들 법안이 해가 바뀌도록 계류중인 데다 임시국회 종료일도 오는 8일로 다가왔기 때문이다. 

 

특히 직권 상정 여부를 놓고 청와대와 인식차이를 보이고 있는 정의화 국회의장이 신년인사회에 참석하는 만큼 박 대통령이 정 의장에게 직접 이 문제를 언급할 가능성도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지난 연말 타결된 일본군 위안부 협상과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신년사 등에 대해 언급할지도 주목된다. 

 

위안부 협상은 박 대통령의 담화 발표 이후에도 부정적 여론과 야당의 공세가 이어지고 있어 이를 설득하는 메시지가 나올 수 있다는 분석이다.

 

박 대통령은 위안부 협상이 타결된 직후 ""일본의 잘못된 역사적 과오에 대해서는 한일관계 개선과 대승적 견지에서 이번 합의에 대해 피해자 분들과 국민 여러분께서도 이해를 해 주시기 바란다"는 내용의 대국민 담화를 내놨다.

 

이어 31일에도 "가능한 범위 내에서 충분한 진전을 이뤘다"면서 "합의를 수용하지 못하면 이 문제는 24년 전 원점으로 되돌아가게 된다"며 국민들의 이해를 당부하는 메시지를 재차 발표했다.

 

'남북 관계개선'을 언급한 김정은 위원장의 신년사의 경우 박 대통령이 어떤 식으로 대응할지가 관심사다. 김 위원장은 신년사에서 "북남대화와 관계개선을 위해 앞으로도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박 대통령이 신년인사회를 통해 남북 관계에 대한 구상을 밝힐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