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경제 활성화의 첨병 역할을 수행해 온 스타기업 육성사업이 올해 획기적으로 개선된다.
○ 대구시는 2016년 스타기업 육성사업 추진방식을 대폭 개선하여 선택과 집중을 통해 성장의지가 강한 지역 강소기업 100개를 선정, 중견기업으로 육성해 나갈 계획이다.
○ 2007년 시작된 대구 스타기업은 소통·협력을 기반으로 하는 정부3.0의 대표적 사례로 그동안 지역 강소기업의 자발적 성장을 주도하여 매출액 및 고용 증가, 코스닥 및 코넥스 상장 8개사 배출, 세계적 기술력을 보유한 월드클래스 300에 13개사 진입 등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며 지역경제 활성화의 첨병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 하지만, 스타기업의 외형적 성장에 치중해 역외 이전·폐업·M&A 등으로 11개사의 이탈이 발생하는 등 기존 스타기업의 관리측면이 미흡했고, 이에 따른 대구 스타기업 브랜드 이미지 제고를 위해 개편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 이에 대구시는 올해부터 스타기업 지원체제를 혁신적으로 개편하여 스타기업이 명실상부한 대구의 대표기업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지원시스템 및 스타기업의 브랜드 관리를 강화하고,
○ Pre-스타기업→스타기업→글로벌 강소기업→월드클래스 300으로 연결되는 기업 성장사다리 지원체계를 새롭게 재편, 운영할 계획이다.
○ 이를 위해 먼저, 대구시 사업인 월드스타기업 육성사업과 중소기업청 사업인 글로벌 강소기업 육성사업간의 중첩 요소를 배제하기 위해 2013년부터 별도로 추진해 오던 스타기업과 월드스타기업을 통합 운영하여 효율적 관리 및 정책효과를 높여나갈 계획이다.
○ 또한, 스타기업 총량제 및 일몰제(Sun-set)를 도입하여 2년 연속 경영실적 저조 및 부실기업은 스타기업 취소조치하고, 정예 유망기업은 100개를 유지하며 지속적으로 지원·관리할 계획이다.
○ 다음으로, 성장의지가 강한 기업에 대해서는 스타기업간 공모를 통해 집중 지원하고, 기업별로 신사업 기획위원회 운영을 의무사항으로 규정하여 스타기업 내부 역량 및 지속적 성장동력 강화를 지원할 뿐만 아니라 기업주도의 공격적 마케팅 과제도 지원하여 스타기업의 글로벌화도 함께 추진할 계획이다.
○ 또한, 지역 스타기업의 구인난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장학재단·지역대학·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등과의 협업을 통해 지역우수인재를 스타기업에 연계하는 스타기업 히어로 양성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 고용창출 우수 스타기업에 대한 우대지원, 육성전담기관 확대 및 PM제(프로젝트매니저) 정비 등을 통해 완벽한 지원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 이렇듯 스타기업 지원체계를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선정된 스타기업의 매출, 고용 등 양적성장 뿐만 아니라 사회적 책임 경영과 창조혁신시스템 도입 등 질적성장도 도모하여 ‘질 높은 경제성장을 위한 지역 중견기업’을 육성해 나갈 방침이다.
○ 권영진 대구시장은 “청년들이 일자리를 가지고 대구에서 희망을 찾을 수 있는 청년대구 건설 원년의 시발점으로 대구 스타기업의 혁신을 통해 지역기업 성장과 청년일자리 창출을 함께 견인할 수 있도록 역점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김양균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