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마을공동체 만들기 지원센터에서는 행복한 마을공동체를 만들기 위한 일환으로 마을 주민 누구나 이용 가능한 공유 공간을 조성하는 ‘마을나눔터’ 사업을 4월 30일까지 공개모집한다.
대구시 마을공동체 만들기 지원센터(이하 ‘센터’)는 마을공동체 내 주민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공유 공간 조성과 커뮤니티 공간을 활용한 마을사업 프로그램의 실시를 위해 △마을공동체의 기존 거점 공간의 환경개선 △공공시설 및 유휴공간을 커뮤니티 공간으로 조성 △마을 주민 누구나 이용 가능한 마을 공간 운영 등을 내용으로 하는 「마을나눔터」사업을 4월 30일까지 공개모집한다.
이 사업은 두 가지로 구분된 신청 대상에 따라 신청 자격이 주어지게 된다.
- 공공시설 및 유휴시설을 이용할 경우에는, 구청사, 동 주민센터, 경로당 등 공간 일부를 주민 커뮤니티 공간으로 이용하고 있는 주민 또는 주민모임이 신청할 수 있으며,
- 민간시설을 이용할 경우에는, 대구시에 소재한 마을공동체 공간 중 1년 이상 운영하고, 3년 이상 마을공동체 활동경력이 있으며, 사업자등록증(고유번호증)이 있는 마을공동체 단체면 누구나 센터와 상담 후 신청 가능하다.
지난해 「마을나눔터」 공모사업을 통해 제1호점인 성서지역의 「와룡배움터」 공부방과 제2호점인 북구 국우동 소재의 어린이 청소년 도서관 「더불어 숲」이 선정되어 현재 활발히 운영되고 있으며, 센터에서는 이번 공모를 통해 총 2개소의 지원 대상을 새로이 선정해 3천500만원 이내의 사업비를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센터에서는 이 외에도 총 다섯가지 유형의 『2017년 마을공동체 만들기 사업』을 4월 30일까지 함께 공개모집하고 있다.
- 「만나자」사업은 마을활동을 처음 시작하는 3인 이상의 주민모임을 대상으로 100만원 이내의 사업비를 지원하며,
- 「해보자」사업은 5인 이상의 주민모임을 대상으로 200만원 이내의 사업비를 지원할 예정으로, 이웃 주민과 어울려 함께 활동할 수 있는 좋은 사업이라면 모두 신청 가능하다.
- 「마을넷」사업은 2개 이상의 마을공동체가 정한 마을의제를 해결하기 위한 마을공동체 사업을 대상으로 500만원 이내의 사업비를 지원하며,
-「 마을계획단」사업은 동(洞) 단위로 주민들이 마을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사업을 대상으로 500만원 이내의 사업비를 지원한다.
-「마을살이 사례연구 동아리」사업은 마을 공동체 현장을 연구하고 기록하는 5인 이상의 모임을 대상으로 3백만원 이내의 사업비를 지원한다.
「2017년 마을공동체 만들기 사업」에는 1차 공개모집 때 지역의 주민모임 및 마을공동체의 뜨거운 관심속에 총 103건의 신청이 접수되었으며, 센터는 심사를 통해 △‘성당못 둘렛길’, ‘그림쟁이’를 비롯한 30개의 「만나자」사업 △‘해오름마을’, ‘수요건강밥상’, ‘하모니카 울림 메아리’를 비롯한 12개의 「해보자」사업 △‘마을도서관 햇빛따라’, ‘이천행복마을협동조합’을 비롯한 8개의 「마을넷」사업 등 총 50개의 사업을 지원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김성우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