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문화예술회관(관장 최현묵)은 예술과 흥미, 감동이 어우러진 한여름 밤의 빛 축제 <In-Daegu 미디어파사드 2017>을 8월 13일(일)부터 8월 15일(화) 밤에 대구문화예술회관에서 개최한다. 이 행사의 개막식은 8월 13일 오후 7시 30분에 대구문화예술회관 내 동편 주차장에서 열리며, 축하 공연이 펼쳐질 예정이다. 본 행사는 13일부터 15일까지 3일간 밤 8시부터 1시간 동안 진행된다.
미디어 파사드는 건물의 조형적인 구조와 건축미를 3D 맵핑 기술로 영상과 사운드를 가미해 마치 하나의 작품처럼 어우러지게 하여 화려한 영상쇼를 펼쳐 보인다. 건물의 앞면을 뜻하는 파사드(façade)는 세상과의 소통을 상징하는 동시에 영상 작품을 위한 화면으로 역할 한다. 대구문화예술회관은 자연과 어우러진 공간에 자리해 있으면서도 육각형을 기본으로 한 기하학적으로 독특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국내외 어디에 비교해도 손색없는 미디어 파사드를 하기에 최적의 공간이다. 올해는 김미련 예술감독의 큐레이팅으로 9점의 작품을 선보인다.
김미련 예술 감독은 ‘보이는 또는 보이지 않는 도시’를 주제로 복잡하게 얽힌 도시 생태를 미디어 아트로 조망하고자 했다.
- 1부 ‘보이지 않는 도시-도시의 흐름(Invisible City-Urban Flow)’ 에서는 드러나지 않는 수많은 개인의 기억, 상상, 욕망 등의 서사가 어우러지는 도시의 생태를 보여준다. 최근 주목받는 미디어 예술가 NPTO, 정구은, 한요한, 윤동희, 배문경&서현규가 참여하여 예술적인 상상력을 기술과 결합시켜 풀어내었다. 특히 13일에는 NPTO와 비보이가 함께 화려한 영상과 춤이 어우러진 미디어 퍼포먼스를 선보인다.
- 2부 ‘보이는 도시-판타지 미션(Visible City-Mission of Fantasy)’에서는 현란한 이미지와 사운드를 감각적으로 녹여 시청각을 사로잡는 판타지를 선물한다. 자연의 모습을 경쾌하고 화려한 색채로 옮겨온 김창겸, 아이에서 우주까지 움직임을 관찰한 고창민, 벽을 살아있는 생물로 표현한 정지연 등 3차원, 모션 그래픽과 음악의 조화로 대중의 눈과 귀를 사로잡는다.
- 3부 ‘디지털 공간 생성(Digital Place-Making)’에서는 작품을 통해 관객과 만나고 관객을 참여시키는 다중접속의 장을 만든다. 손영득(계명문화대)과 이창희(계명문화대) 작가는 미디어 아트와 공학을 접목시켜 증강현실 작업을 보여준다. 작가는 도시에 대한 3가지 의미를 설정해 관람객들이 휴대폰에서 특정 앱을 실행하면 파사드 화면 위로 건물이 변형되는 모습을 볼 수 있게 만들었다. 도시민들의 참여를 통해 도시의 특정 장소에 대한 새로운 경험과 인식을 이끌어 내는 소통을 시도한다.
작가별 작품내용을 보면, NPTO (김성필, 조한진, 이건호)는 신호 전달의 메신저로서 시냅스(Synapse)를 주제로 현실에서의 정보 전달의 매개자 역할을 하는 미디어 아티스트를 동일화 한다. 그들은 작업에서 비가시적인 대상인 커뮤니케이션과 시냅스를 시각화하고, 이를 비보이의 춤과 함께 미디어 퍼포먼스로 연출한다. 정구은은 도시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도시의 모습, 도시 생태계를 관찰한다. 어릴적 동경한 타잔의 모습처럼 시, 공간의 제약 없이 자연에서 자급자족하는 꿈의 도시 생태를 작품으로 그린다. 한요한은 매체와 권력의 관계를 관찰하고 시각적으로 이끌어낸다.
김성우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