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수중드론의 국산화가 눈 앞으로 다가왔다.
경북도는 29일 포항테크노파크 회의실에서 수중드론 국산화를 위한 ‘수중드론 부품소재 기술개발 기획연구 용역’ 최종보고회를 가졌다.
수중드론은 광역해양 조사·관측의 중심 역할을 하는 수중 무인이동 관측 장비로, 해양선진국에서는 해양의 기상·환경·생태, 잠수함 감시 등 관측과 정보산업에 활용되고 있다.
이날 보고회는 대학교수, 해양 전문가, 관계공무원 등 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연구결과 보고와 전문가 자문 순으로 진행됐다.
연구수행기관인 ㈜트리마란 조해성 대표는 "국내에서 운용기술이 확보된 만큼 이제는 한국형 수중드론 개발이 절실하다"며 "지난 6년간 200여억원을 투입해 초고압내성 가변하우징 소재·오일기반 심해부력엔진 부품·수중드론 투하 및 회수 로봇·저온고압 내성 고용량 리튬폴리머 배터리·초광역 수중위치인식 시스템·부품시험을 위한 장기간 수중 드론운용 테스트베드 구축 등 6개 핵심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자문위원으로 참석한 경북대 박종진 교수는 "장비개발은 개발자 중심이 아닌 사용자 중심으로 돼야 한다. 무엇보다도 장비를 활용해 고품질의 해양자료를 생산하고 추출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이 구축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경북도는 이번 수중드론 핵심부품 국산화 기획연구 용역을 다음달까지 완료하고 내년도 신규 국비사업으로 건의할 계획이다. 강창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