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올해부터 30억 투입...인체 유용성 연구
경북도는 해양심층수산업 활성화에 본격 나선다.
이에 경북도는 올해부터 3년간 30억 원을 투입해 해양심층수의 인체 유용성 연구사업을 추진한다. 해양심층수가 인체에 유용하다는 것이 임상적으로 입증된다면 우리나라 해양심층수 산업은 훨씬 더 활성화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연구사업 추진은 그 동안 경북도가 동국대학교경주캠퍼스와 경북대학교병원과 협력해 해양 심층수 관련 연구사업을 국비지원사업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노력한 결과다.
해양심층수는 수심 200미터 아래의 바닷물로 태양광이 도달하지 않아 유기물이나 병원균이 없는, 85종 이상의 미네랄과 무기영양염류를 함유한 청정 해수자원이다. 해양심층수의 이용은 종전에는 김치류, 장류 등 6개 식품류에 한정됐지만 지난해 12월 31일 식품의약품안전처의‘식품의 기준 및 규격’개정으로 올해 5월부터는 모든 식품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먹는 해양심층수에 부과하는 해양심층수 이용부담금도 평균판매가격의 1%에서 0.5%로 낮춰져 올해부터 생산되는 제품은 작년 보다 50% 부담이 낮아진다. 현재까지 해양심층수는 먹는 물 생산이 주류를 이루고 부수적으로 일부 소금, 두부 등의 제조에 활용됐으나 앞으로는 해양심층수를 활용한 다양한 분야의 산업화와 고부가가치화 산업이 가능하게 될 전망이다.
이상욱 도 동해안발전본부장은“이번 연구사업을 통해 해양심층수의 의학적 효능을 규명함으로써 해양심층수에 대한 국민 신뢰성을 높이고 우수성을 입증해 해양심층수 산업을 고부가 산업으로 도약 시키겠다”고 밝혔다.
김영곤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