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황우여 한광옥 등 거론
문창극 국무총리 후보자의 자진사퇴로 정치권을 중심으로‘정치인 출신 총리론’이 급부상하고 있다.
법조계와 언론계 출신 후보자가 잇따라 중도 낙마함에 따라 본인의 과거 경력이 선거 과정을 통해 상당 부분 노출된 정치인 출신이 검증 과정을 거치기 수월할 수 있다른 판단에 따른 것이다.
‘황희 정승을 지명해도 청문회를 통과하기 어렵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총리 후보자에 대한 공세가 거센 상황에서 야권을 설득하는 데도 기존 정치인 출신 총리 후보자가 유리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실제 박지원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강창희 전 국회의장을 총리후보로 거명하기도 했다.
또 차기 총리가‘관피아 척결’을 추진하고 공직 사회의 기강을 확립하는 등 국가개조 역할을 해야 하기 때문에 정무 감각이 있는 정치인 출신이 적격이라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이 때문에 여권 출신 중진급 정치인들의 지명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새누리당 당권에 도전한 김무성 의원은 최근 청와대에 김문수 전 경기도지사를 총리 후보로 추천했다고 밝혔다. 다만 김 지사는 본인의 향후 행보에 대한 언급을 피하고 있는 상황이다.
기존에 청와대가 총리 후보자로 검토했던 정치권 출신 인사들의 이름도 다시 오르내린다. 황우여 전 새누리당 대표와 김진선 전 강원도 지사 등은 박근혜 대통령 취임 이후 청와대가 꾸준히 총리직 지명을 검토해 왔던 인물이다. 이런 가운데 청와대가 한광옥 국민대통합위원장 등 과거 야권 출신 인사를 지명해 국회 동의를 쉽게 얻는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서울 최태식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