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후보자 낙마 계기, 인선 기준 바뀔 듯
▲ 박근혜 대통령과 여야 대표 간 3자회담이 하루앞으로 다가온 15일 서울 세종로에서 바라본 청와대 위로 신호등에 파란불이 들어와 있다. © 운영자
문창극 전 국무총리 후보자의 낙마를 계기로 박근혜 대통령과 청와대의 후임 총리 인선 기준도 다소 바뀌는 분위기다.
앞서 사퇴한 안대희 전 총리 후보자까지 2명의 후보자 자질논란으로 연이어 낙마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지자 인사청문회 통과 가능성에 인선 기준의 무게가 실리는 모양새다.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은 25일 오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후임 총리 인선과 관련해“개혁성을 갖추고 여론과 청문회 무난하게 통과할 분을 신중하게 골라야 할 과제가 있으며 시간적 여유가 많이 없으니 될 수 있으면 빨리 해야 한다는 점도 있다”고 말했다.
총리 인선의 기준으로‘개혁성’과 '청문회 통과 가능성'을 가장 주요한 요소로 꼽은 것이다. 공직사회 혁신과 정부조직의 대대적 개편 등 국가개조를 수행할 적임자인 동시에 국회 인준 과정을 무사히 통과해 서둘러 국정공백을 메울 수 있는 인물을 찾겠다는 의미다.
이는 박 대통령이 안 전 후보자 사퇴 이후인 지난 2일 제시한 총리 후보자 인선 기준과 미묘하게 결이 달라진 것이다.
당시 박 대통령은“총리 임명 후 개각을 통해 국정운영을 일신하고 새롭게 출발하려던 일정이 다소 늦춰지게 됐지만 국가개혁 적임자로 국민들께서 요구하고 있는 분을 찾고 있다”고 언급해‘개혁성(국가개혁 적임자)’과‘도덕성(국민들께서 요구하고 있는 분)’을 최고 가치로 꼽았다.
개혁성이란 기준은 문 전 후보자 사퇴 후에도 여전히 유효하지만 도덕성이란 덕목은 청문회 통과 가능성으로 보다 구체화된 셈이다.
이같은 기류 변화는 하염 없이 길어지고 있는 국정공백에서 하루 빨리 탈출해야 한다는 박 대통령과 청와대의 절박함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2기 내각이 장관들의 인사청문회 지연 등으로 가동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새 총리 후보자 인선에만 벌써 두 달을 낭비하면서 통일준비, 경제혁신 3개년 계획 등의 주요 국정과제 이행도 늘어지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마련된 정부조직 개편 등 국가개조 작업은 전혀 추진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시간적 여유가 많이 없으니 (총리 후보자 인선을) 될 수 있으면 빨리 해야 한다”는 민 대변인의 발언도 이같은 맥락에서 나온 것으로 보인다.
이런 점에서 청와대 안팎에서는 김문수 전 경기지사, 황우여 전 새누리당 대표, 김진선 전 강원도 지사 등 '정치인 출신 총리론'이 다시 부상하고 있다. 국민정서와 여론을 잘 읽을 수 있는데다 선거를 통해 검증을 치른 바 있기 때문에 청문회 통과 가능성도 높다는 이유에서다.
그러나 앞선 두 명의 총리 후보가 높아진 국민 눈높이와 혹독한 인사검증에 곤혹을 치른 상황에서 제 아무리 정치인 출신이라도 쉽게 나설 수 있겠냐는 시각도 만만찮다.
청와대 내부에서는“문 전 후보자를 내정하기 전부터 총리 후보자로 지명돼도 하려는 사람이 없었다”는 말도 나온다.
이러다보니 정치권 일각에서는 정홍원 총리의 유임설까지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청와대가 이같은 여건 속에서 총리 인선작업을 본격화 하고 있는 가운데 어떤 인물이 최종 낙점될 지 주목된다. 서울 최태식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