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 7월 30일부터 9월 19일까지 관내 소규모 복지시설 20개소에 대하여 실내공기질 무료검사를 실시하여 실내공기질 관리실태를 파악하였고, 일부 기준초과 시설에 대하여 원인진단 및 개선방안 계도 등으로 실내환경 개선에 도움을 주었다.
실내공기질 무료진단 서비스는 법적 관리대상 시설이 아닌 관내 사회취약계층 이용 복지시설 중 소규모시설 20개소(아동시설 7개소, 노인시설 8개소, 장애인시설 4개소, 노숙인시설 1개소)에서 신청을 받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15개 시설은 「실내공기질관리법」의 실내공기질 기준에 적합하였고 5개 시설(아동시설 3개소, 노인시설 2개소)은 일부항목에서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검사항목은 「실내공기질관리법」에서 정한 민감계층 다중이용시설(어린이집, 병원 등) 기준에 준한 5항목(미세먼지,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폼알데하이드, 총부유세균)이었으며,부적합 항목은 이산화탄소, 총부유세균, 폼알데하이드로 부적합 원인을 살펴보면 여름철 폭염에 따른 냉방기 가동으로 인한 환기부족과 새가구 구입으로 확인되었다.
부적합 시설에 대해서는 연구원들이 다시 시설을 방문하여 원인진단 및 공기질 개선방안을 알려주어 실내공기질을 개선하도록 유도하였으며 재검사를 실시하여 모두 기준에 적합하게 실내공기질이 유지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대구시 김선숙 보건환경연구원장은 “지난해부터 실시하고 있는 무료검사는 「실내공기질관리법」에서 규제하고 있는 법적관리대상 시설은 아니지만 면역력이 약한 어린이, 노인, 장애인들이 주로 활동하는 시설로 실내공기질 관리가 매우 중요하므로 보건환경연구원에서는 실내공기질 무료진단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실시하여 사회적 배려시설의 실내환경 개선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종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