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정태옥(대구 북구갑) 의원은 18일 오재학 한국교통연구원장을 상대로 한 국정감사에서 “대구통합신공항은 공군기지로서의 작전성 이외에 민항으로서의 발전 가능성을 중요하게 검토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정 의원은 이날 오후 국회에서 열린 한국교통연구원 국감에서 대구통합신공항 경쟁력 강화 방안과 관련해 이 같은 입장을 밝혔다.
한국교통연구원은 현재 K2군공항과 대구공항 이전에 따른 민항 경쟁력 확보 및 공항 개발과 연계한 지역 발전 전략 수립을 위한 연구용역 과제를 수행 중에 있다.
정 의원은“대구통합신공항의 성공 가능성은 중장거리 노선 취항이 가능한 3200m 이상의 활주로 확보에 달려있다”면서 “민항이 단순히 사람을 실어 나르는 1차적 기능에서 벗어나 산업적 기능과 역할에 초점이 맞춰져야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우선적으로 도심과 가까운 지점에 통합신공항이 위치해야한다”며“도심과 근접해야만 물류 등 산업기지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정 의원에 따르면 현재 대구공항은 항공수요 한계치인 375만명에 도달했으며 연내 400만명 달성이 예상된다. 지금과 같은 가파른 항공 수요 증가 추세를 감안하면 신공항 설계 기준년도(30년)인 2050년에는 1000만명까지 확대될 것으로 추계된다.
이날 정 의원은 대구통합신공항과 김해확장신공항과의 상호보완성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강조했다.
정 의원은 “대구통합신공항과 김해확장공항의 역할 분담을 통해 공항 위계 정립 등 보완적 기능을 수행해야한다”며 “따라서 신공항 조성 시 김해공항에 투입되는 국가 재정과의 형평성 측면을 충분히 고려해 지원이 이뤄져야한다”고 주문했다.
그는 특히 민항의 성공 가능성에 대해 “군공항(K2)은 군공항 이전 특별법에 근거해 기부 대 양여로 추진하되 민항에 대해선 국가재정 투입을 중요한 기준으로 제시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정 의원에 따르면 오 원장은 정 의원이 밝힌 국가재정 투입 필요성과 중장거리 취항 가능한 활주로 확보 방안 등에 대해 “심도있게 검토하겠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종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