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대구취수원 이전 대안인 무방류시스템 가능한가..
대구

대구취수원 이전 대안인 무방류시스템 가능한가

운영자 기자 입력 2018/10/30 17:10 수정 2018.10.30 17:10

 

▲     © 운영자


대구시와 경북도가 대구취수원의 낙동강 상류 이전과 ‘구미산업단지의 오.폐수 무방류시스템’ 도입을 동시 검증하자는데 동의했지만, 대구취수원 이전 시기만 늦춰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30일 대구시는 폐수 무방류시스템을 설치해 대량의 폐수처리수를 재처리하는 방식은 국내·외에 적용된 전례가 없어 검증에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대구취수원 이전을 병행하겠다고 입장이다.
하지만 이철우 경북지사는 지난 2일 대구·경북한뿌리상생위원회 총회에서 합의한 ‘시장·도지사 분기별 1회 교환 근무’를 하기 위해 방문한 대구시청에서 기자들을 만나 대구취수원 이전에 대해 난색을 표명하면서 무방류시스템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그러면서 대구취수원 이전과 무방류시스템의 동시 추진에 대해 “무방류시스템을 하는 것은 아예 공단 물이 강으로 흐르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중(취수원 이전)으로 설치하는 것은 그 걸 안하려고 무방류시스템한다는 점에서 적절하지 않다”고 선을 그었다.
그는 또 “무방류시스템을 추진하고 그래도 정 안된다고 하면 그때 다른 방안도 검토할 것”이라고 여지를 남겼지만 ‘다른 방안’에 대구취수원 이전이 포함되는지에 대한 확답을 하지 않았다.
이에 대해 권영진 대구시장은 지난 7일 뉴시스와 인터뷰를 통해 “무방류시스템이 정말 낙동강에 폐수를 한 방울도 보내지 않고 식수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면 받지 않을 이유가 없다”면서도 “우리나라 어디에도 시행하지 않고 있는 것이고 그러한 기술을 완벽하게 확보하고 있지도 않은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어 “무방류시스템이 가능한지 검증하는 것과 대구취수원 이전에 대해 투트랙으로 추진한다면 받아들일 수 있다”며 “하지만 무방류시스템을 추진한다면서 시간 끌기를 하는 것은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선을 그었다.
권 시장의 이 같은 우려는 오·폐수 무방류시스템 도입의 현실성과 기술적 결함 때문이다.
무방류시스템 검증을 통해 대구취수원 이전에 반대하는 구미지역 여론을 설득할 수 있는 유효한 수단이 될 수 있겠지만 국내에서 성공한 전례가 없는 기술인 무방류시스템 검증 과정에서 대구취수원 이전이 장기 표류할 수 있기 때문이다.
환경부가 대구취수원 이전의 대안으로 제시한 구미산업단지 오·폐수 무방류시스템은 환경부 국정감사에서도 도마 위에 올랐다.
지난 25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의 환경부 국정감사에서 자유한국당 강효상(비례) 의원은 박천규 환경부 차관에게 “환경부 실무자에게 무방류시스템 기술에 대해 물었지만 용역을 추진 중이라는 말 뿐 기술적으로 완벽하다는 답이 돌아오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박천규 차관은 “무방류 시스템의 경우 농축수 처리에 관한 기술적 보완이 조금 더 필요하다”며 “지자체 등의 전문가들과 함께 논의해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대답했다.
하지만 민경석 경북대학교 환경공학과 명예교수에 따르면 하수처리수의 20~30%인 농축수를 방류하지 않고 처리하려면 많은 비용과 에너지가 필요하고 우리나라에서는 R&D(연구·개발)는 물론 제대로 된 실적도 전무하다. 낙동강 원수를 수돗물로 사용하는 대구시민들은 지난 1991년 구미공단에서 발생한 페놀유출 사태 이후 30여년 동안 먹는 물 공포에 시달리고 있지만 대구취수원 이전 대신 새롭게 떠오른 무방류시스템의 검증으로 또 다시 시간게임이 벌어질 전망이다. 이종구기자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