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경북도‘원전해체산업’생태계 조성 시동..
경북

경북도‘원전해체산업’생태계 조성 시동

이종팔 기자 gbnews8181@naver.com 입력 2020/02/19 21:29 수정 2020.02.24 19:33

  경북도는 19일 동부청사 대회의실에서 지역 원전해체 연관기업과 대학교, 유관기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원전해체산업 협의회 4차 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는 지난해부터 추진한 원전해체 기업지원 성과 발표와 전문인력 육성사업 추진상황을 공유하고 차기년도 사업의 운영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회의에서는 사업화·마케팅·기술 컨설팅 분야 등 12개 지원 사업의 성과 발표도 이뤄졌다.


   특히 경주소재 기업인 정수필터레이션(주)은 한수원 예비공급업체 유자격 등록 컨설팅을 받아 지난 2월 4일 ‘액체 및 기체 필터’유자격 업체 등록에 성공했다면서, 기술 경쟁력이 확보되어 원자력 사업분야에 제품 수주와 매출이 증대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또 울진 소재 기업인 주)유투엔지는‘고방사선구역 출입 이력을 표시해 주는 리더기 제작’을 위한 사업화 지원사업을 통해 국내 원전에 8대 납품계약을 했다. 
  특히 해외 바라카 원전에도 5대의 납품계약을 체결했다. 매출액도 내년에는 약 150% 이상 증가할 것이라는 기대감도 내비쳤다. 


  전문인력 육성사업은 국내외 해체기술 세미나 참석, 교과목 개설, 학생실험용 연구 인프라 구축 등을 지원해 원전해체 산업현장 맞춤형 인재 양성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지난해 5개 지원대학 중 3개 대학은 원전해체 교과목을 신설했다. 
  포스텍은 방폐물 저감 및 로봇 분야에 특화되어 있는 일본 도쿄대와, 경북대는 제염 분야에 특화되어 있는 일본 도호쿠대학과 기술 교류를 통해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곽대영 경북도 원자력정책과장은 “올해 해체시장 진출을 원하는 기업들을 추가적으로 발굴하는 한편, 기술이전 설명회, 해체 공정별 교육 등에 주력해 해체시장에 경북지역 기업들이 진입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기업이 필요로 하는 맞춤형 인재를 양성하여 선순환 구조의 경상북도 원전해체산업 생태계가 조성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종팔기자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