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발표한 ‘여성에 대한 폭력과 안전’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14년 기준 각급 수사기관(검찰·경찰·특별사법경찰)이 집계한 성폭력 발생건수는 2만9천863건이다. 전년(2만6천919건)에 비해 10.9% 늘었다. 검거율은 2005년 이래 가장 낮았던 2012년(83.8%)을 기점으로 점차 늘었다. 2014년에는 95.2%를 기록했다. 성폭력 발생 장소로는 노상(4천919건, 16.5%)이 가장 많았다. 단독주택(2천629건, 8.8%), 숙박업소·목욕탕(2천604건, 8.7%), 아파트·연립·다세대주택(2천584건, 8.6%), 유흥접객업소(2천115건, 7.1%), 역 대합실(1천269건, 4.2%), 기타 교통수단 내(1천243건, 4.2%), 지하철(1천200건, 4.0%) 순으로 나타났다. 2010년과 비교해 노상(1천431건↑), 역 대합실(971건↑), 유흥접객업소(753건↑) 등의 장소에서 특히 발생 건수가 늘었다.
반면, 단독주택(298건↓), 숙박업소·목욕탕(194건↓), 지하철(139건↓) 등의 장소는 2010년에 비해 줄었다. 성폭력 발생 시간대는 오후 8시부터 오전 4시 사이가 9천179건(30.7%)이었다. 정오부터 오후 6시 사이(18.8%), 오후 6시부터 오후 8시 사이(8.1%), 오전 9시부터 정오 사이(7.4%), 오전 4시부터 7시 사이(7.2%) 등이다. 성폭력 피해자 수는 2만8천504명으로 2010년(1만8천560명)에 비해 1.5배 이상 늘었다. 성별로는 여성이 2만7천129명(95.2%)으로 대부분이었다. 남성 피해자도 1천375명이나 됐다. 성폭력 수사의 계기는 현행범 검거로 인한 경우는 19.0%에 불과했다. 47.6%는 피해자의 신고, 고소, 고발로 시작됐다. 33.5%는 불신검문, 탐문정보, 여죄 수사 등으로 인해 범죄 사실이 적발됐다. 위 같은 통계를 보면, 우리사회는 성폭력사회라고도 할 수가 있다.
구미시가 이 같은 사회 척결에 나섰다. 구미시가 지난 7일 구미역광장에서 특수임무유공자회 구미시지회주관으로「3분기 아동 성폭력 안전지킴이」캠페인을 실시했다. 이날 행사에는 특수임무유공자회 산하단체인 어머니회 및 자유총연맹 여성회, 스쿨버스기사 등 50명이 참여했다. 아동 성폭력 예방을 위한 홍보물을 배부했다. 원평동 일대에 시민들을 대상으로 대대적으로 캠페인을 전개했다. 이날 캠페인은 행사일 뿐이다. 성폭력은 늘 상시적으로 터진다. 이번을 계기로 우리사회를 성폭력이 없는 사회로 만들어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