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연구원이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지진 관측이 시작된 1978년부터 올해까지 한반도에 발생한 지진은 1천229회이다. 대구·경북에서 발생한 지진은 256건이다. 전체 발생 건수의 20%를 차지했다. 이는 전국에서 가장 많은 수치다. 대구·경북은 규모 3.0이상의 지진이 전국에서 가장 빈번했다. 대구·경북에서 일어난 규모 3.0이상 지진은 36건이다. 전국에서 가장 많았다. 이는 대전 충남 세종(14건)보다 두 배 이상이다. 전문가들은 대구·경북에 지진이 잦은 원인으로 영남지역에 분포한 양산단층(부산~경주~울진)과 울산단층(울산~경주)을 들었다. 특히 동해안을 따라 형성된 양산단층과 일광단층 등 많은 단층과 인접함에 따라 단층의 움직임에 따라 경주 강진보다 더욱 강력한 지진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이다. 문제는 영남 지역 단층에 지진 발생 가능성이 높은 활성단층이 있는지를 두고 학계의 의견이 엇갈릴 정도로 연구가 미비하다.
기상청에 따르면, 올해 1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우리나라에서 규모 2.0이상 지진이 일어난 횟수는 총 34회로 집계됐다. 이는 디지털 지진 관측을 한 1999년부터 2015년까지 상반기 평균치인 25.6회보다 32.8%(8.4회) 많다. 가장 지진이 빈번했던 2013년 한 해(93차례)의 36.6%에 달했다. 올해 1∼6월 규모 3.0이상 국내 지진 발생 횟수도 8회이다. 상반기 평년치(5.7회)를 크게 웃돌았다. 위 같은 지진 통계는 우리나라도 결코 지진의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것을 뜻한다. 더구나 이번 경주시에서 발생한 지진은 역대 최강의 지진이었다.
경북도와 경주시가 지진피해 복구에 행정력을 발휘했다. 경북도는 지난 12일 관측 이래 가장 큰 규모인 5.8의 지진 발생으로 큰 피해를 입은 경주시에 21일부터 23일까지 중앙재난피해합동조사단과 김원석 도민안전실장을 단장으로 민간전문가, 지역자율방재단원, 각 분야별 담당자 등 24명으로 구성된 지진피해 합동조사단을 운영한다. 정밀한 피해조사를 실시한다. 합동조사단은 피해조사는 도로, 문화재, 소규모, 기타분야 등이다. 현재까지 자체 피해조사 결과를 토대로 신속하고 정확한 피해조사를 실시한다. 복구계획을 조기에 수립하여, 피해주민의 조속한 생활안정에 기여할 계획이다.
이번 조사에는 현지사정에 밝은 경주시 지역자율방재단원과 해당 분야 민간전문가 등이 함께 참여했다. 피해상황, 누락사항 방지, 지진피해 특성을 고려한 정밀한 조사에 최선을 다한다. 경북도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 피해액이 확정되면, 즉시 복구계획을 확정한다. 어려움을 겪고 있는 피해주민에게 조속히 재난지원금을 지급한다. 신속한 복구로 주민생활 안정을 도모한다. 김관용 경북도지사는 합동조사단원들에게 정확하고 신속하게 조사해 한 사람이라도 피해액이 누락되는 일이 없도록 조사에 철저를 기해 줄 것을 당부했다. 경북도는 경주지역 일대를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해 줄 것을 요청했다. 지난 17일 응급복구를 위해 재난안전특별교부세와 도의 예비비 등 30억 원을 경주시에 긴급 배정했다.
여기까지는 지진피해 조사, 복구 계획 등이다. 최강 지진의 첫 경험이다. 문제는 앞으로가 더 심각하다. 이번 지진에서 교훈을 얻어야한다. 한반도가 지진의 안전지대가 아니다. 앞으로도 이보다 더 강력한 지진이 발생할 수가 있다. 이렇다면, 지진의 전문가의 양성이다. 피해조사 전문가의 양성이다. 지진 피해는 자연재해이다. 하지만, 지진의 전조현상을 알 수는 있다. 위 같은 문제를 풀 수가 있어야만 한다. 관계당국은 위에서 거론한 모든 것에 대한 준비를 보다 철저히 할 것을 주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