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 형산강 중금속(수은) 오염 논란이 심각한 현실로 나타나 시민들에게 큰 충격을 안겨주고 있다.
포항시는 지난 6월 29일 재첩에서 수은 초과 검출
로 시작된 형산강 중금속 오염에 대한 퇴적물 검사 결과를 10일 발표했다.
이날 시에 따르면 결과는 금속류 8개 항목에서 수은을 제외한 7개 항목은 하천퇴적물 기준Ⅰ~Ⅱ 등급이며, 수은은 연일대교에서 형산 큰 다리까지는 Ⅳ등급으로 나타났다.
수은 검사결과를 보면▲송동2교(1.33±0.09)▲연일대교(2.20±0.02)▲섬안대교(44.0±1.52)▲형산큰다리 (48.3±0.84) ▲칠성천 유입부(17.0±0.48)▲구무천 유입부(221.99 ± 0.42)이다
하천퇴적물 오염평가기준(수은) Ⅰ등급(0.07이하), Ⅱ등급(0.67이하), Ⅲ등급(2.14이하), Ⅳ등급(2.14초과)
시는 형산강 중금속 오염 원인은 구무천의 오염이 형산강에 유입되면서 기수구역이 오염된 것으로 판단한다며, 단기간에 인위적으로 오염이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형산강의 연일대교는 중권 역 대표지점으로 2012년부터 1년에 2회 퇴적물 중금속 검사를 지속적으로 해오고 있다. 2015년까지 그 결과는 Ⅰ~Ⅱ 등급이었으나, 이번 같은 지점에서 이뤄진 시료채취에서 Ⅳ 등급을 받아 단기간에 이뤄진 것으로 보여 진다.
검사결과를 종합적으로 보면, 무단방류, 취급부주의로 인한 사고, 하천불법방류 등 다양한 형태의 불법행위로 이뤄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와 관련 포항시는 형산강 중금속 오염이 심각한 수준의 결과 값에 대하여 향후 다음과 같은 대책을 제시했다
먼저 형산강 하류 퇴적토 정화 및 수질개선대책으로 형산강의 오염된 퇴적물을 오는 2017년 퇴적토 정화 및 수질개선을 위한 용역 시행 후 구체적인 계획 수립 후 준설을 계획 추진 중이다.
또한 형산강 본류 10㎞ 및 지류의 생태복원 계획수립중이며, 구체적인 계획 수립을 위해 오는 2017년 1억원으로 용역 추진 중이다.
둘째, 철강공단, 연일읍 지역의 하수관거와 배수설비를 정비하여, 오염원이 형산강으로 유입되는 것을 사전차단하고, 비, 또는 사고 유출 수 등 비점오염원들의 형산강 유입을 막기 위한 완충저류시설 설치(사업비 160억)를 위해 오는 2017년부터 사업을 추진 할 계획이다.
셋째, 구무천과 형산강 합류지점에 수질자동측정망(온라인 중금속 측정기)를 설치하여, 중금속 유출에 대해 실시간 모니터링을 하고, 구무천 유입부, 형산대교 아래 퇴적물 측정망을 증설하는 등, 수질오염 관리 강화이다.
한편 시민단체 관계자는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식의 포항시 행정에 참 답답함을 느낀다. 늦은 감은 있지만 시의 대책이 구호가 아닌 실천으로 죽어가는 형산강을 반드시 다시 맑고 건강하게 살려주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율동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