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가 어학사전 업그레이드에 매년 20억원씩, 5년간 총 100억원을 투자한다고 17일 밝혔다. 네이버가 어학사전 서비스를 위해 투자해온 비용은 신규 투자와 별도로 유지된다.
네이버는 100억원을 10~30년간 개정이 어려웠던 프랑스어, 독일어 등 기존 사전의 개정 작업을 위해 쓸 예정이다. 이용자가 많지는 않지만 의미가 있는 미얀마어 사전 등 소수 언어 사전 구축에도 투자한다.
국어의 어원사전, 영어·중국어·일본어 사전의 콘텐츠 보완도 함께 진행된다. 표제어 이미지, 발음, 동영상, 학습 콘텐츠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활용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사전으로 구성하는 것이 목표다.
어학사전 업그레이드를 위해 네이버는 한국사전학회 협조로 자문위원회를 구성했다. 자문위원회는 강현화 교수(연세대), 고명수 위원(민중서림), 도원영 교수(고려대), 정영국 교수(국제영어대학원 대학), 한영균 교수(연세대) 등 총 5명의 전문가로 구성되며 위원장은 정영국·한영균 교수가 공동으로 맡았다.
한영균 교수는 "이번 네이버 투자로 가치있는 사전 콘텐츠의 신규 생산과 유통의 선순환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성숙 네이버 서비스 총괄 부사장은 "어학사전은 매달 3000만명이 쓰는 매우 의미있는 콘텐츠이지만 개정 작업이 없어 서비스에 어려움이 많았다. 다양한 고객층을 고려해 적극적인 투자를 진행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