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를 도용해 불법 복제 휴대전화를 만들어 범죄 집단에 유통시킨 일당이 무더기로 경찰에 붙잡혔다.
이들은 단말기를 복제하는 특수한 프로그램을 사용하거나 사망자, 출국 외국인 명의 또는 가상의 이름을 만들어 불법 휴대전화를 유통시켰다.
불법 복제된 휴대전화는 외국으로 수출되거나 보이스피싱 등 금융사기의 수단으로 활용된 것으로 전해졌다.
서울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는 임모(39)씨 등 8명을 사기 등 혐의로 구속했다고 8일 밝혔다.
경찰은 또 명의인을 조작하거나 신용불량자 등의 이름을 빌려 불법 휴대전화를 복제해 유통시킨 김모(34)씨 등 61명을 사문서 위조·정보통신망법 위반 등 혐의로 불구속 입건했다.
임씨 등은 2012년부터 올해 4월까지 김모(51)씨 등으로부터 불법적인 경로를 통해 구입한 개인정보를 토대로 휴대전화를 개통하고 이를 외국으로 처분한 혐의를 받고 있다.
이들 가운데 일부는 국내 유명 통신사 대리점 등에서 근무하면서 불법복제 프로그램을 이용해 신용불량자 등의 명의를 빌려 휴대전화를 개통하고 이를 유통시킨 혐의를받고 있다.
이들은 불법 복제 휴대전화를 만들어 외국에 수출하고 보이스피싱 조직 등에 넘기는 등의 수법으로 모두 13억5000만원 상당의 부당이득을 챙긴 혐의도 받고 있다.
경찰 조사결과 알뜰폰 통신업체 이모(38)씨 등은 불법 취득한 개인과 법인 정보를 토대로 전산을 조작해 가입신청서 없이 휴대전화 3만1736대를 개통하고 이를 보이스피싱 조직 등에 처분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 가운데 일부는 'HONG GIL DONG'이라는 가상 명의를 만들거나 사망자, 이미 출국한 외국인 명의를 빌어 불법 휴대전화를 개통해 유통시킨 것으로 밝혀졌다.
이동통신사 휴대전화 대리점에서 근무하던 김모(34)씨 등은 신형 단말기의 IMEI(기기식별코드)를 복제하는 이른바 '찌'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해 휴대전화를 불법 복제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은 이 프로그램을 이용해 중고 단말기를 신규 휴대전화로 인식하게 하고 유심(USIM)칩을 꽂아 마치 휴대전화가 새로 개통된 것처럼 통신사에서 인식하도록 조작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임씨 등은 통신요금 연체자 또는 신용불량자를 상대로 대출을 시켜주거나 일시금으로 40~50만원을 제공하겠다는 명목으로 가입자를 모집해 명의를 도용하기도 했다고 경찰은 전했다.
경찰 관계자는 "이들이 복제하거나 불법 개통한 휴대전화는 보이스피싱 조직과 조직폭력 등 각종 범죄 수단으로 활용된 것으로 확인됐다"면서 "복제된 신형 단말기를 구별할 수 있는 시스템, 외국인 명의로 이뤄지는 불법 휴대전화 개통을 방지할 수 있는 체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