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도심서 이어지던 촛불집회 이번 주말 분수령
-靑, 하야나 퇴진 요구 일축, 야 3당 장외투쟁 이어갈 듯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로 박근혜 대통령의 퇴진을 요구하는 성난 민심이 지난 12일 서울 광화문광장을 뒤덮은 가운데 이번 주말 대구·경북의 민심도 크게 요동 칠 것으로 보인다. 최 사태이후 매주 토·일요일 대구와 경북 도심에서 이어지던 촛불집회가 이번 주말 분수령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오는 19일 오후 대구 중구 중앙네거리~반월당네거리 대중교통전용지구 800m 구간에서 열릴 예정인 '대구 시국대회'에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반대집회 이후 최대 규모인 1만여명의 시민이 참여할 것으로 추산된다.
이날 집회에는 현재 파업 중인 철도노조 조합원들과 박근혜 대통령 퇴진 촉구 대구비상시국회의 등 시민단체, 야당의 조직적인 참여와 이미 촛불집회에 참여해온 중·고등학생들과 수능을 마친 수험생까지 가세 할 것으로 보여 긴장감이 돌고 있다.
집회 참여자들은 박근혜 대통령의 하야를 요구하며 CGV대구한일~공평네거리~반월당네거리~중앙로를 거쳐 약 2㎞를 행진한다는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예정된 집회와 관련 경찰 한 관계자는 “도심지역 대중교통 차량 운행이 전면 통제돼 택시는 물론 시내버스 14개 노선도 우회할 수밖에 없어 밤늦은 시간까지 시민들의 교통 불편이 극심할 것으로 예상 된다”고 밝혔다.
경북 지역에서도 성난 민심의 촛불집회가 이어진다. 오는 18일 구미역과 경산시장, 오는 19일에는 경주역과 포항 육거리, 북 포항 우체국, 안동 문화의 거리, 영주역, 김천역, 성주군청 등에서 촛불집회가 예정돼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의 중심에 있는 청와대는 이번 촛불집회와 관련해 "국민의 준엄한 뜻을 아주 무겁게 느끼고 있다"고 밝히면서 박 대통령의 하야 요구는 일단 배제하고 있는 분위기다.
하지만 야3당 지도부와 야권 대선주자들이 분노한 민심을 받아들여 박 대통령 퇴진 운동에 본격적으로 나설 것으로 보이는 상황에서 어떤 대안을 제시 할 지는 미지수다.
박 대통령도 지난 4일 대국민담화에서 "국정은 한시라도 중단돼서는 안된다. 대통령의 임기는 유한하지만 대한민국은 영원히 계속돼야만 한다"고 말해 하야나 퇴진 요구를 일축했다. 박 대통령의 권력 의지를 감안할 때 스스로 하야를 선택할 가능성도 매우 낮다는 분석이다.
결국 박 대통령에게 남은 선택지는 여야 합의로 뽑아줄 것을 요청한 신임 국무총리에게 대부분의 권한을 이양하고 2선 후퇴하겠다는 뜻을 공개적으로 약속하는 정도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율동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