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운영자
청송군이 면봉산 일대에 추진 중인 대규모 풍력발전단지 조성사업을 둘러싸고 찬반 양론이 팽팽히 맞서면서 표류될 우려를 낳고 있다.
13일 청송군에 따르면 안덕면 성재리, 현서면 무계리, 현동면 월매리 일대에 총 사업비 1680억원을 들여 2㎿ 24기 총 60㎿ 규모의 풍력발전소를 건립할 계획이다.
군은 이를 위해 2009년 청송지역 면봉산과 비봉산, 노래산 등에 계측기를 설치 및 운영하는 한편 2010년에는 '청송면봉산풍력(주)(대표 조종호)'가 설립됐다.
2012년 10월 지식경제부로부터, 지난해 4월에는 산업통상부로부터 발전사업허가를 받았다.
또 같은해 5월에는 면봉산풍력발전단지 조성을 위한 군 관리계획을 결정하는 등 비교적 순조롭게 진행됐다. 그러나 13일 면봉산 인근에서 열린 현장토론회에는 남부지방산림청과 환경청, 환경단체, 교수, 군 관계자와 주민 등 50여 명이 참여해 사업추진에 따른 문제점 등을 놓고 열띤 토론을 펼쳤다.
남부지방산림청 등은 이 자리에서 해당 지역 풍속이 초속 6.3m(기준 초속 6~21m)에 불과해 경제성이 떨어지는데다 경사도마저 40도를 넘어 절·성토에 따른 산림훼손 및 토사 유출에 따른 산사태 우려를 제기했다.
반면 청송군과 인근 주민들은 풍력발전소가 유치돼 소득창출로 이어질 수 있도록 현재 1급 생태지역인 공사현장을 2급 생태지역으로 변경해 줄 것 등을 요청했다.
결국 이날 토론회는 3시간 동안 열띤 공방을 벌였지만 찬반 양론이 팽팽히 맞서면서 결론을 도출하지 못한 채 끝냈다. 다만 경사가 심한 지역과 토사유출 문제점 등을 보완한 뒤 해당 서류를 남부지방산림청에 다시 접수해 재검토하기로 합의했다.
청송군 관계자는“오늘 토로회에서는 찬반 양론이 맞서 결론을 내지 못했다”면서“그러나 도출된 문제점에 대한 보완 사항이 남부지방산림청을 통과한다면 급물살을 탈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강성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