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 학비는커녕 생활비도 못 보태 마이너스 통장을 생활하고 있어요. 딱 죽을 맛이라니까요.”
남편의 외벌이 부담을 줄이기 위해 6년 전부터 건물청소를 한 김정순(52·여)씨는 올해 초 직장에서 정리해고 당했다. 고등학생과 대학생 남매를 둔 김씨는 3개월 내로 재취업하겠다고 가족에게 큰소리를 쳤지만 현실은 쉽지 않았다.
김씨는“단순노무직 면접을 봐도 나이가 많다고 뽑아주질 않는다”면서“돈 들어갈 곳은 한두 군데가 아닌데 걱정이 태산 같다”고 했다.
김씨의 일과 중 하나는 다른 구직자보다 먼저 집을 나서 구인·구직신문을 모으는 것이다. 이마저도 늦게 일어나는 날에는 공치기 일쑤라고 했다.
대구·경북 지역의 민생경제에 적신호가 켜졌다. 일자리는 줄고 기존 인력을 내보내는 곳은 늘었기 때문이다.
19일 통계청이 발표한‘2018년 5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대구의 고용률은 58.7%로 전년인 59.3%보다 0.6%P 감소했다.
경북의 지난달 고용률은 62.3%로 전년 63.8%와 비교해 1.5%P 줄었다. 대구·경북의 고용률은 올해 들어 꾸준히 감소세다.
반면 실업률은 다달이 오름세다. 대구의 지난달 실업률은 5.3%로 전년 3.6% 대비 1.7%P 늘었다.
경북의 실업률 역시 4.4%로 전년 동기인 2.3%와 비교해 2.1%P 증가했다. 전국 평균 실업률인 4.0%를 웃도는 수치다.
고용 쇼크가 심화한 원인 중 하나로는 최저임금 상승이 꼽힌다.
대구 남구에서 식당을 운영하는 장모(61)씨는 인건비 부담에 손님이 몰리는 점심시간에만 종업원을 쓰고 있다.
이동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