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래연구소, 2014년 국내 혼획 및 좌초 고래류 집계 발표
작년 한해 국내 연안에서 총 13종 1,849마리의 고래류가 혼획(그물에 우연히 걸림)·또는 좌초·표류 상태로 발견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3년 보다 150여 마리 감소한 수치지만, 여전히 많은 고래류가 혼획되어 폐사한 것이다.
국립수산과학원 고래연구소는 지난해 전국 해양경비안전서에 신고된 고래류 혼획 관련 수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혼획된 고래류 13종 중 대형종으로는 참고래와 밍크고래, 그리고 소형종인 돌고래류가 11종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2일 밝혔다.
종류별로는 상괭이가 1,233마리(66.7%)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참돌고래 506마리(27.4%), 밍크고래 54마리(2.9%), 낫돌고래 28마리(1.5%)순이다.
해역별로는 동해에서 참돌고래 80.6%와 밍크고래 6.4%였고, 서해와 남해는 모두 상괭이가 각각 98.8%, 92.4%로 가장 많았으며, 이는 해역별로 우점하는 고래종의 분포현황과 일치했다.
고래류가 혼획된 주요 어구는 안강망(서해 상괭이가 주로 차지)이 50.4%로 가장 높았고, 자망어구(동해 참돌고래가 주로 차지)는 21.2%를 보였다.
한편, 해양수산부는 고래류 자원에 대한 합리적인 보존과 관리를 위해 2011년도부터 ‘고래자원의 보존과 관리에 관한 고시’를 시행하고 있는데 ▲혼획·좌초·표류된 고래를 발견한 자는 관할 해양경비안전서에 신고하고 ▲구조나 회생을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하며 ▲고래가 폐사했을 경우, 고래류 유통증명서를 발급받은 후 수협을 통해 매각이나 폐기해야 한다.
신상순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