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귀농1번지’자리매김...11연속 1위 지켜
경북도가 귀농1번지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귀농은 역시 경북’이란 공식이 11년째 통하고 있는 것.
농식품부와 통계청이 합동으로 시행한 2014년 귀농 통계조사결과 경북은 2,172가구 3,688명로 지난 2004년부터 11연속 1위 자리를 지켰다.
이는 전국 1만1,144가구 1만8,864명의 19.5%를 차지하는 수치로, 2위 전남 1,844가구, 3위 경남 1,373가구와는 상당한 차이다.
시군별로는 상주시가 167가구로 가장 많고, 청도군과 봉화군이 148가구, 의성군이 138가구 순이다. 100가구 이상 유치 시군만 12개다.
타 시도에 비해 고소득 작목이 풍부하고, 농지 가격이 저렴한 점 등이 주된 요인으로 꼽히고 있으며, 특히 도와 시군이 연계된 귀농 종합지원시스템이 큰 역할을 했다고 보고 있다.
경북에 오면 타 시도와는 차별화된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다.
법적으로 지원되는 정착금 등을 제외하고도 초기에는 각종 지원정보와 귀농인 실습지원 등이 제공되며, 정착 단계에는 정착자금의 재정지원과 품목별 전문가를 통한 멘토링 서비스가, 안정단계에는 농어촌진흥기금과 농민사관학교 전문과정 교육 등이 단계별로 지원된다.
시군별로 특성화된 자체 지원시책들도 유치에 한 몫을 하고 있다. 상주시는 귀농인과 기존 주민들의 융화를 위해‘주민초청 집들이 비용’ 50만 원을 지원한다. 또한, 20가구 이상이 집단으로 이주할 경우에는 상하수도, 전기, 진입로 개설 등이 완비된 ‘소규모 전원마을 조성사업’을 통해 패키지로 지원을 돕는다.
이 밖에도 봉화군은 이사비용과 빈집수리비를 의성군은 주택수리비와 이사비를 청도군은 정착장려금을 군위군과 청송군은 농지구입시 세제를 지원하는 등 각 시군별로 다채로운 지원사업이 시행되고 있다. 최근 귀농은 단순한 인구 유입에 그치지 않고 지역에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김관용 도지사는“열악한 환경 속에도 11년 연속 귀농 1위라는 성과를 일궈냈다. 귀농이 가진 사회?경제적 파급효과가 엄청난 만큼, 유치와 지역 정착에 총력을 기울여 지역 사회의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적극 육성해나가겠다”고 밝혔다. 김영곤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