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전염병 코로나19의 세계적인 대유행으로 국내 항만 물동량 중 컨테이너 화물은 5월 기준 전년대비 2.2% 감소한 1천188억3천TEU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포항 영일만항에도 그 영향을 미쳤다. 영일만항의 올해 수출입 컨테이너 물동량은 5월 기준으로 3만7천461TEU를 처리하면서 전년대비 26.7% 감소를 보였다.
▲일본 자동차(마쯔다) 생산 차질 및 러시아 자동차 수입 중단 ▲자동차 화물 부재로 인한 포항~러시아 항로 운영 중단 ▲자동차 산업 침체로 인한 포스코 선재 수출 감소 ▲포항~베트남 항로 운영 중단 등이 감소 주요 요인이다.
하지만, 이러한 물동량 감소요인들이 차츰 해결 기미를 보이고 있다.
경북도 환동해지역 관계자에 따르면, 올해 3월 베트남 검역국은 대구·경북을 코로나19 위험지역으로 보고 해당지역 기항 선박에 대해서는 14일 격리 후 입항하도록 했으나, 지난 6월 1일부터 해당 입항조건을 폐지하면서 중단했던 항로의 운항 재개가 이뤄졌다.
또, 일본 자동차 생산공장과 러시아 조립공장의 가동 차질로 4월부터 중단됐던 자동차 수출화물 처리도 지난 달 27일부터 재개됨에 따라 포항~러시아 정기 컨테이너 항로도 다시 운항이 재개됐으며, 9월 이후부터는 수출입 규모도 확대될 것으로 점쳤다.
이에 대해 김남일 경북도 환동해지역본부장은 “코로나19 확산으로 해상운송 수요 감소가 불가피해 항만 물동량에도 많은 영향이 있다”며 “이러한 불확실성은 한동안 계속될 것으로 보이며, 지속적으로 모니터링·관리하겠다”고 밝혔다.이종팔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