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균 국무총리가 9일 이철우 경북도지사, 문성혁 해양수산부 장관, 안영규 행정안전부 재난관리실장 등과 함께 태풍 ‘마이삭’ 및 ‘하이선’으로 피해가 집중된 울릉군 현장을 방문했다.
정 총리 일행은 먼저 울릉 사동항과 남양항 피해현장을 둘러보고, 이어 울릉 일주도로 피해 현장을 점검했다.
울릉군은 태풍 ‘마이삭’ 및 ‘하이선’으로 사동항 및 남양항의 방파제가 320m 가량 전도됐으며, 유람선 및 예인선 3척이 파손되고, 여객선 1척 침수, 어선 30척 전도 및 유실, 도동항 여객선 터미널 및 상하수도시설 파손 등 많은 피해가 발생됐다. 현장 점검에서 정세균 총리는 응급복구중인 주민들을 위로하면서 “이번 태풍으로 상처가 크신 줄 알고 있다. 특별재난지역 선포, 특별교부세 지원 등 정부에서도 신속한 피해복구와 재발방지 복구계획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자리를 함께한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잇따라 몰아친 두개의 태풍으로 경북 동해안에 대규모의 피해가 발생했다. 복구에 상당기간이 걸리고 많은 예산이 소요될 것”이라며 “특히 울릉군은 재정력이 약해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빠른 복구를 위해 특별교부세 50억원 지원과 특별재난지역을 신속히 선포해 달라”고 건의했다.
아울러 피해가 큰 울진, 영덕, 포항을 포함한 경북 동해안 지역에 대한 조속한 피해조사와 복구를 위한 정부차원의 대책 마련도 함께 건의했다. 정 총리의 이번 울릉 방문은 이철우 경북지사가 지난 6일 중대본회의에서 발언한 제10호 태풍 하이선 대처상황 점검 등에 따른 후속조치로 전격 이뤄졌다.
이날 울릉도 태풍피해 현장을 방문한 정세균 총리는 “이철우 도지사가 중대본회의에서 울릉도 태풍피해 현장을 직접 방문해 정부차원의 대책을 세워 달라는 간곡한 요청이 있어 오게 되었다”며 “현장에 직접 와 보니 생각보다 피해가 크다. 주민분들 걱정 컸을 것이다. 공공시설, 사유시설 피해 입어서 공직자를 비롯한 주민들께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고 주민들을 위로했다.
또 정 총리는 “특히 사동항 방파제 유실이 커서 불편하시겠다”며 “남양항, 일주도로를 신속하게 응급복구 할 뿐만 아니라 항구복구 되도록 신경쓰겠다”고 전했다.
또한, 정 총리는 “울릉도는 특별한 곳이다. 많은 국민이 울릉도를 사랑하고, 와보고 싶어 하고, 가치를 소중하게 생각하고 있지만 아직 공항도 없고, 해로를 통한 이동도 쉽지 않아 주민이 불편하다. 그래서 인구도 줄지 않았나” 생각한다며 “이번에 큰 피해까지 입어서 주민의 마음이 아플까 참으로 걱정스럽다”고 덧붙였다.
이어 정 총리는 “함께 손을 맞잡으면 피해 복구 하고 항구복구로 다시는 유사한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이번이 전화위복의 계기가 될수 있다”고 언급하고 “정부에서는 여러 법가 제도가 있기 때문에 제도에 충실해서 매우 신속, 적극적으로 이번 태풍 피해 복구를 위해 최선을 다 하겠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정 총리는 “사동항 방파제가 건설한지 얼마 안됐는데 유실되어 안타깝다”며 “좀 더 설계와 시공, 복구까지 완벽하게 해서 새로운 시설이 쉽게 자연재해에 무력해 지는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제대로 완벽하게 복구해 달라”고 지시하고 “군민 여러분께 위로의 말씀을 드리고 군수는 군민과 함께 손잡고 상황을 잘 극복하고 더 나은 상황 만들어 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달라”고 당부하고 “서로 잘 소통해서 좋은 성과 내길 기원한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7~8월 태풍에 따른 경북 지역 피해 상황은 이재민이 31가구 63명이 발생했고, 사유시설은 주택 492동(전파8, 반파103, 침수381), 상가 및 공장 97동, 농어업시설 72개소, 어선 및 여객선 91척, 농경지 4,966ha이다.
공공시설의 주요 피해는 총 1,398개소로 도로 66개소, 교량 16개소, 하천 19개소, 소하천 20개소, 항만시설 15개소, 소규모시설 17개소, 산사태 6지구, 기타 1,239개소 등으로 파악됐다.
이종팔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