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김성진 도의원 “청년일자리 정책 부실화”..
경북

김성진 도의원 “청년일자리 정책 부실화”

이종팔 기자 jebo24@naver.com 입력 2020/12/01 18:56 수정 2020.12.01 18:57
신도시 잦은 계획 변경 지적

경북도의회 김성진의원(사진)은 1일 제320회 정례회 제4차 본회의에서 도정질문을 통해 독단적인 도지사의 대구경북 행정통합 추진, 경북도청신도시의 잦은 계획 변경에 따른 정책신뢰성 저하 및 경북도청신도시 투자자와 영세 상인, 입주민에 대한 대책, 청년일자리창출정책 내실화, 지역문화예술인 육성을 위한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먼저, 김 의원은 “이철우 도지사는 도청 이전 후 4년이 안된 2019년말 도민의 대의기구인 도의회와 23개 시·군을 배제한 채 일방적이고 독단적으로 대구경북 행정통합을 추진하겠다고 언론에 발표했고 통합에 반대하는 도의회와 시·군의 의견수렴 없이 여전히 밀어붙이기 식으로 추진하고 있다”면서 “수도권 집중과 대구 집중의 이중적인 쏠림 현상으로 경북도만 힘들어질 것이라면서 통합 후에는 행정효율화라는 명목으로 경북의 소규모 시·군만 통폐합대상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경북도청을 이전한지 5년 밖에 안된 시점에서 검증도 안된 대구경북 행정통합 공론화는 그렇지 않아도 도청신도시 조성이 늦어져 힘든 입주민들과 투자자, 영세상인들에게 절망감을 심어준다”면서 “신도시 입주민들은 행정통합이 되면 경북도와 경북개발공사가 ‘먹튀’하지 않을까 걱정한다면서 이런 도지사의 행보와 잦은 도시계획변경이 정책신뢰성을 떨어뜨려 신도시에 대한 신규투자를 더욱 어렵게 해 이에 대한 대책”을 요구했다.
또한 김 의원은 도지사 공약사항인 ‘청년일자리 정책’의 부실한 운영과 관련해서 “최근 3년간 [청년일자리창출을 위한 직접 지원 사업] 3,000여건 중 동일기업 또는 동일인에게 2년간 6회의 정책자금을 지급한 사례를 비롯해 총 411개 기업이 2회 이상 정책자금을 지원 받았으며, 이중에서도 2년간 6차례에 걸쳐 청년정책지원을 받은 A청년창업기업사례를 통해 청년정책지원의 총괄적인 모니터링시스템 부재”를 지적하고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이종팔기자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