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정부 한국판 뉴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는‘경북형 뉴딜(3+1)’종합대책이 정부의 관심 속에 한층 더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대통령직속 정책기획위원회는 8일 경북도청에서 이철우 경북도지사, 대구시장, 지역 국회의원, 중앙부처, 새마을운동 중앙회 등 50여명의 각계 인사가 참석한 가운데‘한국판 뉴딜 경청·공감 대구경북 대토론회’를 개최해 한국판 뉴딜의 성공을 다졌다.
이날 토론회는 8, 9일 이틀간 ‘한국판 뉴딜, 지역에서 길을 찾다’라는 주제로 각계 전문가들이 함께 소통하는 경청의 장으로 진행되며, 한국판 뉴딜의 성공을 다지게 된다.
1일차 제1세션 ‘한국판 뉴딜과 새마을 운동’에 이어 제2세션 ‘한국판 뉴딜과 수소경제’로 진행되며, 2일차 제3세션에서는 ‘한국판 뉴딜과 지역경제’와 제4세션 ‘사회적 대화’로 진행된다.
이날, 조대엽 위원장은 개회사를 통해 한국판 뉴딜의 배경과 취지를 설명하고, 그간 경북이 ‘경북형 뉴딜 종합계획’을 선제적으로 수립하는 등 적극적으로 함께 해준데 대해 감사의 뜻을 표하고 앞으로도 한국판 뉴딜의 성공을 위해 지자체가 중심적인 역할을 해달라고 말했다.
이 자리에서 이철우 도지사는 “경북형 뉴딜 3+1 종합계획 추진상황에 대해 설명하고, 정부 차원의 지원과 지역 현장의 노력을 통해 한국판 뉴딜 대표 모델로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경북형 뉴딜(3+1) 종합계획’은 지난해 7월 정부 한국판 뉴딜계획 발표 후, 경북이 선제적으로 대응·마련한 종합 플랜으로 ▲디지털뉴딜 ▲그린뉴딜 ▲안전망 강화에 ▲대구경북 통합신공항을 더해 총 164개 과제, 12조 4천억원 규모의 예산이 투입되는 메가 프로젝트다.
경북도에서는 이들 사업 중 특히 ▲수소연료전지 발전 클러스터 구축 ▲안전신뢰기반 고성능 이차전지 기술개발사업 ▲5G 기반 융합산업 클러스터 조성 ▲가속기 데이터 활용 개방형 인프라 조성 ▲신재생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 조성 등 ‘10대 역점 추진과제’와 ▲스마트 산단 조성 ▲스마트 관광도시 조성 ▲스마트 팜 벨트 조성 등‘경북형 스마트(G-Smart) 프로젝트’를 선도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특히, 건설에만 10조원이 투입되는 대구·경북 통합신공항은 첨단 디지털․그린 기술이 융합되고 지역 고용에도 엄청난 파급이 예상됨에 따라 코로나19 이후 침체된 국가와 지역 경제를 일으킬 대한민국 뉴딜의 대표사업으로 만들어 가겠다는 계획이다.
또한, 경북이 가장 역점을 기울이고 있는 핵심사업 중 수소연료전지 발전 클러스터 구축사업은 그린뉴딜 사업으로 포항 블루밸리 국가산업단지 내 280,240㎡ 규모로 2023∼2027년까지 총사업비 1,062억원(국비 635, 지방비 236, 민자191)을 투입·진행되고 있다.
이밖에도 경북도는 포항TP 연료전지 인증센터 준공(100억원), 수소산업 융복합 인력양성 지원사업 공모선정(43억원, 5년간), ‘경북도 수소·연료전지 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조례’제정(2020년 7월) 등 수소산업 기반 육성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며, 지난 2월에는 산업부를 통해 기재부 예타 대상사업 선정에 뛰어들었다.
또, 고성능 차세대 이차전지 상용화 기술개발사업은 포항 가속기 연구소 및 블루밸리 산업단지 일원에 8,031㎡ 규모로 2022∼2028년까지 총사업비 3,850억원(국비 2,570, 지방비 408, 민자 872)을 투입·진행하며, 5월 중에 제2차 예비타당성 기술성 평가 신청 추진으로 배터리 산업의 국가경쟁력 강화에 핵심 축이 될 것으로 보인다.이종팔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