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인구감소로 인한 소멸위기 극복을 위해 광역자치단체로서는 전국 최초로 ‘지방소멸대응 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용역을 추진한다고 28일 밝혔다.
이에 도는 27일 각 분야 자문위원 및 시·군 담당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경북도 지방소멸대응 종합계획’수립 연구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하고, 지방소멸 대응을 위한 중장기 비전, 전략 등 방향을 설정하고, 지역현황을 고려한 사람, 공간·인프라, 일자리 전략별 중점시책 및 융합전략 시책을 발굴·개발에 나섰다.
먼저, 경북도는 도내 23개 시·군의 인구규모와 인구구조, 이동유형 및 여건변화에 대한 실증 분석과 전망을 토대로 체계적으로 지역을 진단해 맞춤형 지방소멸 대응 전략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국책연구기관 및 지역연구기관, 지역전문가들과 자문회의, 포럼 등을 통해 다양한 정책제안들을 검토해 전문적이고 현실성 있는 시책을 발굴해 나간다는 빙침이다. 지난해 한국고용정보원의 발표에 따르면, 경상북도의 지방소멸위험지수는 0.47로 23개 시․군 중 19개 시․군이 소멸위험에 직면해 있다. 고령화율도 21.7%(전국16.4%)로 19개 시․군이 초고령사회에 진입해 있다. 이에 따라 군위, 의성, 영양 등 7개 군은 소멸고위험지역에 속해 있으며, 전남도에 이어 가장 소멸위험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종팔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