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원하는 2022년 스마트특성화사업에 경북도의 ‘저전력 지능형 IoT 물류부품 상용화 기반구축’사업이 선정됐다. 오는 2022년부터~2024년까지(3년간) 총사업비 186억 원(국비 60억원)을 투자해 지역 산학연 협의체 중심으로 사업을 추진하게 되는 ‘저전력 지능형 IoT 부품소재’는 생활속에서 버려지는 에너지들을 하베스팅 부품소재를 수집·활용해 다시 전력에너지로 변화·사용하는 기술이다.
이는 에너지의 재활용으로, 일반적으로 에너지를 수확한다는 의미에서‘에너지 하베스팅’이라는 용어 또는 ‘저전력 IoT기술’로 사용된다.
이러한 일련의 기술은 웨어러블 기기의 발전, 탄소중립 등 친환경 정책의 강화로 주목받고 있다. 해외에서는 대규모 호텔의 수만개의 스위치에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을 사용하여 에너지절감을 이루어 낸 사례라든가 중국 상하이 홍차오 공항에 스마트 조명 센서를 부착하여 초저전력화 공항을 실현한 사례들이 있다. 국내에서도 부산 서면의 지하철 개찰구에 압전퍠드를 활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사례가 있다.
해외에서는 이미 엔오션얼라이언스(EnOcean Alliance)라고 해서 에너지 하베스팅과 접목된 IoT용 무선솔루션 선도그룹이 활동하고 있으며 IBM, 오슬람(OSRAM) 등 글로벌 정보통신 기업들이 활동하고 있다.
이 기술은 스마트홈에서부터 스마트팩토리까지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영국 시장 조사기관에 따르면 에너지하베스팅 시장 전망은 2020년 4억5,800만 달러에서 2028년까지 9억8천7백만달러(한화 약 1조2천억원)로 연평균 10%이상 성장하는 고성장 분야로 알려져 있다. 경북도가 이번에 선정·추진하는 사업은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을 물류분야에 적용하는 사업으로 다양한 센서들이 무선으로 운용되는 환경에서 독립된 전원공급 장치가 필요한 분야로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지능형 IoT부품센터’를 설치해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이 가미된 전원소자, 센서 등을 개발하고 이를 실제 물류분야에 적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며, 이어 거기에서 수집된 데이터는 다시 부품센터의 환경정보 수집 및 전송모듈로 전송되어 수정 보완 작업을 거쳐 성능을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게 된다.
이에 경북도는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 발전을 위해 영천시 대구대 등과 협업하며, 지난 2020년 3월부터는 영천시와 공동으로 ‘에너지하베스팅산업생태계 조성을 위한 기본계획수립용역’을 추진해 12월 초 완료했으며, 이 과정에서 국내 최초로 ‘에너지하베스팅 기술분류체계’를 정립해 앞으로 체계적인 연구개발과 산업발전에 방향성을 제안하기도 했다.
이번 사업 추진과 관련해서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스마트 특성화 사업은 지역의 혁신기관간 연계와 협업이 전제되어야 성과를 낼 수 있는 사업이다”며, “그간 구축된 IoT관련 연구기반들과 협업을 강화함은 물론, 산학연 협력체계를 통해 혁신기관들이 보유한 유망기술이 대학으로 확산되어 위기 속에 어려운 시기를 보내고 있는 우리 지역대학들의 돌파구가 되었으면 한다”고 밝혔다.이종팔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