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신약개발 선도…포항에 ‘세포막단백질연구소’..
경북

신약개발 선도…포항에 ‘세포막단백질연구소’

이종팔 김재원 기자 gbnews8181@naver.com 입력 2021/09/29 19:36 수정 2021.09.29 19:36
융합기술산업지구서 준공식
백신거점도시 도약 발판 마련
경북도는 29일 포항융합기술산업지구에서 글로벌 신약개발 산업을 선도할 세포막단백질연구소 준공식을 가졌다.
경북도는 29일 포항융합기술산업지구에서 글로벌 신약개발 산업을 선도할 세포막단백질연구소 준공식을 가졌다.

국내외 글로벌 신약개발 산업을 선도 할 세포막단백질연구소(이하 연구소) 준공식이 29일 이철우 도지사, 이강덕 포항시장, 김무환 포스텍 총장 및 김희수 경북도의회 부의장 및 도·시의원 등 관계자 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포항융합기술산업지구에서 진행됐다.


아울러 이날 준공식을 가진 세포막단백질연구소는 지난 2019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한 ‘가속기 기반 신약개발 사업’공모에 선정돼 올해까지 5년간 총사업비 458억원(국비 229)을 투자해 조성한 바이오 신약개발 핵심 연구시설로, 연구소 인프라 구축에 255억원을 이번에 투입해 바이러스, 단백질 등 생체 분자를 영하 200◦C 이하의 극저온 상태로 급냉시켜 원자 단위로 정밀하게 관찰하는 전자현미경인 극저온전자현미경(Cryo-EM) 등의 구조 분석 장비 도입과 연면적 6086㎡, 5개 층(지하1, 지상4) 규모로 꾸며졌다.


특히, 연구소는 암, 감염성, 대사성, 뇌, 심혈관, 희귀질환 등 6대 중증질환 막단백질의 구조분석, 기능, 응용연구를 통한 항체의약품 및 신약후보물질개발을 위해 5개 과제, 181억 규모로 연구개발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간 경북도는 고령화, 만성질환 증가, 웰니스 등으로 글로벌 바이오 신약 시장의 확대 전망에 따라 지난 2016년 산·학·연·관이 함께하는 가속기 기반 신약개발 협의체 출범을 시작으로 신약 산업 육성을 위한 인프라 조성과 연구개발 지원에 노력해왔다.


또한 철강, 자동차 등 지역 주력산업의 위기를 극복하고 다변화할 수 있는 미래성장 동력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세계 최고의 4세대 방사광가속기 준공에 발맞춰 2552억원 규모의 ‘가속기 기반 신약개발 프로젝트’를 추진해왔다.


이를 위해 2017년 가속기 기반 신약개발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세포막단백질연구소 ▷가속기신약연구소 ▷비즈니스융복합센터 건립 ▷신약연구중심병원 ▷첨단임상시험센터 ▷동물대체시험평가센터 유치를 목표로 하고 있다.
그 중 핵심 사업인 세포막단백질연구소 건립을 우선적으로 추진해 이번에 준공하게 됐다.


이는 3‧4세대 가속기와 함께 글로벌 신약개발을 위한 구조분석 연구거점을 보유하게 돼 미개척 신약 연구 분야에 대한 세계 최고 제약기술 확보를 통해 1500조 글로벌 신약 시장에서 주도권을 확보할 수 있는 디딤돌을 마련했다는데 큰 의미가 부여된다.


또한, 올해 5월 바이오‧신소재 기업의 비즈니스 지원을 위한 포항지식산업센터 완공과 내년 바이오프린팅 활용 동물대체시험평가센터 조성으로 ‘가속기 기반 신약개발 프로젝트’는 가시적인 성과를 보이고 있다.
이에 경북도는 첨단기술 기반의 신약개발 클러스터 조성을 위해 구조기반 신약‧백신개발 기업의 통합 지원 체계 마련과 식물을 활용한 그린바이오로직스 산업 육성에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북부권 백신산업 클러스터와의 연계를 통해 신약‧백신 개발의 공동연구와 제품실증, 인력양성 및 교류 등의 다양한 바이오 의약 산업 육성 사업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이철우 도지사는 준공식 인사말에서 “이번 연구소는 한국의 신약개발 역량을 한 차원 높이고 글로벌 신약 강국으로 도약하는데 일조 할 것”이라며, “경북도는 바이오‧제약 산업 등 신성장 산업 분야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와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이종팔 김재원기자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