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포항 죽장, 5년간 ‘축구장 650개’ 넘는 산림벌목..
경북

포항 죽장, 5년간 ‘축구장 650개’ 넘는 산림벌목

김재원 기자 jwkim2916@naver.com 입력 2021/10/18 18:01 수정 2021.10.18 18:46
“벌목이 산사태 원인” 주민들 주장 설득력 높아
죽장면, 최근 5년간 466ha 산림 벌목... '축구장 650개 넘는' 게시판 5시간 전 수정 삭제 복사https://blog.naver.com/jwkim2916/222540316444 통계보기 - "벌목이 산사태 원인"이라는 주민들의 주장 설득력 실려... 지난 9월 7일 폭우로 파손된 죽장면 하옥리 도로
죽장면, 최근 5년간 466ha 산림 벌목... '축구장 650개 넘는' 게시판 5시간 전 수정 삭제 복사https://blog.naver.com/jwkim2916/222540316444 통계보기 - "벌목이 산사태 원인"이라는 주민들의 주장 설득력 실려... 지난 9월 7일 폭우로 파손된 죽장면 하옥리 도로

산림청의 벌목정책은 "안전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산사태 위험지역에도 마구잡이식 벌목이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데, 특히 포항 죽장면 산사태 지역도 최근 5년간 축구장 650개가 넘는 면적의 나무를 잘라낸 것으로 드러나 "벌목이 산사태의 원인"이라는 주민들의 주장에 설득력이 실리고 있다.


이만희 의원(국민의힘, 영천.청도)이 산림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 분석 결과, 지난해 벌채지에서 발생한 산사태 피해 면적은 20.3ha이다.


이중 ‘산사태위험지도’ 상 위험도가 가장 높은 1등급으로 분류된 산지에서 발생한 피해 면적은 13.1ha, 2등급 4.7ha로 현재 벌목이 산사태 위험과 관계없이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산사태 피해 복구 건수 기준으로는 벌채지 산사태 발생 24건 중 산사태위험 1등급이 16건, 2등급 5건, 3등급 2건, 미구축 1건이다.
산림청이 제공하는 ‘산사태위험지도’는 산사태위험지역이 어디인지 국민들이 확인할 수 있도록 인터넷에 위험등급을 공개하고 있으며 산사태 발생확률이 높을수록 등급이 낮다.


지난해 유례없는 긴 장마와 집중호우 그리고 태풍 등으로 전년 대비 3배에 달하는 6,175건(피해면적 1,343ha)의 산사태가 발생하며 많은 전문가와 언론은 산지 태양광, 싹쓸이 벌목, 산지전용 등 산지 훼손이 원인이라고 지목했지만 산림청은 직접적인 관계가 없다고 해명하며 논란이 되기도 했다는 지적이다.


지난 8월 산사태가 발생한 경북 포항 죽장면 일대는 지난 10년간 산사태 피해가 두 차례에 걸쳐 총 0.4ha 발생했지만, 이번 태풍으로 10배에 달하는 3.8ha의 면적에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만희 의원은 산림청으로부터 포항 죽장면 일대 최근 5년간 벌목 실시 현황자료를 받아 본 결과, 지난 2016년부터 현재까지 466ha의 산림을 벌목한 것으로 나타나 벌목이 산사태의 원인이라는 주민들의 주장에 설득력이 실린다고 말했다.


또 “산림청이 지난 5월에 실시한 벌채지 일제점검 조사는 5ha 이상만 대상으로 한 면피용 반쪽짜리 조사에 불과하다.”며, “산림청은 현재 전국적으로 크고 작은 벌채지가 총 몇 군데인지 파악조차 하지 못하고 있으며 산사태위험등급과 관계없이 벌채 허가를 내주는 등 총체적 난국이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이 의원은 “산림청은 지속적으로 산사태 발생이 벌채와 연관이 없다고 주장하지만, 산사태 발생 지역주민들은 절대 납득하지 못할 것”이라며, “산림청은 탄소중립계획보다 국민과 산림산업 근로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벌채지에 대한 구체적이고 자세한 현황 파악 먼저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지난 5월 산림청이 실시한 5ha 이상 벌채지 일제점검 조사 결과 총 2,145개소 중 법령위반 45개소, 관리 미흡 469개소가 적발된 가운데, 5ha 미만 벌채지에 대해서는 별도의 조사를 실시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김재원기자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