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경시가 지난해 적극적인 인구시책을 추진한 결과 2021년 12월말 기준 인구감소율이 전년에 비해 뚜렷이 개선됐다고 밝혔다.
전국적으로 인구가 감소하고 있는 위기 속에서 지난해 말 문경시 인구감소율은 –0.35%로 2020년 말 인구감소율 –1.16%보다 현저히 개선된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지난해 인구감소지역으로 지정된 경북도 내 16개 시‧군 중 2번째로 감소율이 낮은 수치이다.
이에 문경시는 지난해 12월 인구증가 지원 조례를 개정해 전입세대를 위한 지원을 확대하며, 인구유입을 위해 본격 나섰다. 전입세대 지원을 위해 전입이사비용을 당초 20만원에서 10만원 증액한→30만원으로 상향 지원하고, 전입추천지원금을 신설해 문경시로 이주를 권유→인구증가에 기여한 개인, 기관‧단체를 대상으로 전입인구 1명당 10만원 상당의 지역사랑상품권을 지급하기도 했다.
문경시는 ‘인구증가 지원 조례’ 개정 후 실제 지난해 연말 전입 인구가 눈에 띄게 증가하는 등 인구 유입 효과를 보였다. 또한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시작된 ‘문경을 살립시다!’ 운동으로 인구감소에 대한 위기의식을 공유하였으며 지금까지도 운동은 지속되고 있다. 이는 시민들의 자발적인 지역사랑 운동인 ‘문경사랑 주소갖기 운동’으로 확산되어 시민과 함께 하는 정책홍보의 모범사례가 되고 있다.
따라서, 문경시는 올해도 지속적인 인구감소와 심각한 고령화 위기 속에서 실효성 있고 직접적인 지원을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우선 지난해 10월 정부의 인구감소지역 지정에 따른 행․재정적 지원확대 방침에 대응하기 위해 올해 연초부터 ‘인구감소지역 소생활권 활성화’공모사업을 시작으로 12개 부처 52개 연계사업에 적극 대응하고, 경상북도 이웃사촌마을 사업 관련한 지역 활력과제도 발굴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2022년 인구활력 계획을 통해 변화하는 정책인구의 범위를 확대하고, 2023년 중부내륙고속철 개통에 맞춘 인구연결정책 추진으로 베이비부머 세대 및 젊은 층을 위한 전략적 귀향‧귀촌‧귀농 정책을 펼쳐나간다는 게획이다.
특히, 작년 시범적으로 시행한 ‘새문경 뉴딜정책’은 귀향․귀촌․귀농을 원하는 도시민들의 가장 큰 고민거리인 안정적인 정착을 위한 주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업으로, 이는 외부인구의 유입으로 지역경기가 활성화 되고 기존의 시민들 뿐만 아니라 최근 인구정책의 트렌드인 관계인구(특정지역에 관심과 호감을 갖고 중장기 머무는)를 활성화하는 선제적 정책으로 평가된다.
그 사례로, ‘새문경 뉴딜정책’의 핵심인 경량철골조 모듈주택 임대사업은 지난해 폭발적인 관심속에 3동을 모집한 영순면 시범단지의 경우 10:1의 경쟁률을 기록하며 8명이 전입했고, 10동을 모집한 공평동 단지의 경우 6:1의 경쟁률을 기록하여 28명이 전입하는 등 지역 인구 활성화에 효과적인 사업임을 입증 했다. 또한 15평 규모의 보금자리 주택을 임대하는 공평동(배실마을)단지는 벌써부터 입주문의가 이어지는 등 거주 지원에 대한 도시민들의 관심을 엿 볼 수 있다.
이에 대해 문경시장은 “저출산, 고령화 시대에 문경시 또한 선제적으로 대처하지 않는다면 지방소멸의 파도를 피해 갈수 없다. 변화하는 인구정책에 과감하게 대응하기 위한 '새문경 뉴딜정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