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모사업 3건 선정…5천만원 지원
성주생명문화·영덕대게축제 등
가상과 현실을 융합한 메타버스 축제가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있는 가운데, 경북도가 축제의 디지털 전환을 선도하고 융합축제의 트렌드 만들기 선두에 나섰다.
경북도는 지난 18일, 올해 하반기 축제를 대상으로 메타버스 축제 공모사업 심사를 진행해 성주생명문화축제, 영천보현산별빛축제와 영덕대게축제 3개 축제를 사업 대상으로 선정・발표했다. 선정된 축제는 메타버스 축제 플랫폼 구축비용 각 5000만원을 지원받게 된다.
먼저 ▲성주생명문화축제는 8월 5∼14일까지 10일간 열기로 잠정 결정하고 메타버스 축제장 구축에 나선다.
‘생명문화유산을 메타버스에서 전달하다’를 주제로 세종 태실을 매개로 한 생(生), 활(活), 사(死)의 문화적 가치와 성주의 인문사회적 가치를 체험할 수 있도록 메타버스 플랫폼을 만든다는 계획이다
내 아이의 태를 메타버스에 만드는 메타버스 태실, 조선시대부터 이어져온 삶의 지혜를 배우는 한개마을 아카이빙 등 체험, 게임, 전시, 포토존과 같은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를 구축할 예정이다. 특히, 메타버스 코인을 오프라인 축제 체험권으로 연계하여 가상공간과 현실축제를 선순환 구조로 만들어 간다는 구상이다.
▲올해 10월 1~3일까지 개최 예정인 영천보현산별빛축제는 메타버스를 기반으로 하는 3D 실감형 축제 플랫폼이 구축될 전망이다.
실시간 스트리밍을 통해 온라인・오프라인 동시 개막식을 개최하고, 메타버스 전시 ZONE을 선보이는 동시에 가상 체험공간으로 영상으로 보는 우주와 과학, 영천의 밤하늘 360도 VR체험존 등을 구현한다는 게획이다.
▲영덕대게축제는 올해 연말 크리스마스, 경북 대종타종, 해맞이 행사와 연계해 겨울 관광시즌 축제를 가상공간과 현실세계를 융합하는 새로운 축제 패러다임을 선보일 예정이다. 영덕 해파랑공원과 삼사해상공원을 메타버스 가상공간에 구축하고, 영덕대게 캐릭터 3D게임, 대게줄당기기, 슈팅게임 등 즐길 수 있는 콘텐츠와 삼사해상공원 케이블카, 바이킹, 눈썰매 탑승이벤트와 더불어 플리마켓 특산품 장터, 영덕해품몰과 연계한 수익 모델을 구축해 메타버스 경제권도 함께 만든다는 계획이다.
이에 경북도는 “메타버스 가상공간은 축제의 영토 확장이자 경험의 공간으로써 축제를 알리는 파급효과가 크다”며 “공간의 한계를 넘어서는 가상공간인 메타버스 플랫폼은 국내관광객 뿐만 아니라 MZ세대, 외국인 관광객에 경북의 축제홍보와 축제장 방문을 이끌어 낸다”는 각오다.
특히, 국내에 오는 외국인 관광객 중에 경북을 방문하는 관광객 수가 5%도 미치지 못하는 실정이어서 메타버스를 통한 홍보는 그 효과가 크다는 판단이다.
이와 관련해서 김상철 경북도 문화관광체육국장은“4차 산업혁명시대 디지털 전환은 거스를 수 없는 대세가 됐고, 축제도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함께하는 융합으로 가야한다”며 “경북을 대표하는 지정축제에 대한 메타버스 플랫폼 구축지원을 더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고 밝혔다.이종팔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