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지난 27일 도청에서 ‘경북 도심항공교통 기반구축 종합계획수립’연구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해 미래 교통의 게임체인저가 될 도심항공교통의 도입을 위한 경북형 도심항공교통(G-UAM) 기반구축에 나섰다.
한국교통연구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대경본부, 한국공항공사, 한국도로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된 이번 연구용역은 ▷신공항 연계 VertiHub 건설 ▷UAM Hub 및 Spoke 망 구축 ▷UAM 중남부권 거점 역할 ▷경북 특화 UAM서비스 모델구축으로 통합신공항과 연계한 이착륙장 및 UAM 시범노선 등 최적의 인프라를 구축하고 나아가 UAM 노선 상용화 전략 발굴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경북 특화 UAM서비스 발굴에는 지역별 특성과 UAM 도입 여건을 분석해 ▷산업지역 연계형 ▷관광지 연계형 ▷응급·구난형 ▷교통오지 주민이동형 특화 UAM서비스 모델을 만들어 지역의 교통문제를 해결하고 지역발전을 견인하는 역할 마련을 내세웠다.
앞서, 경북도는 지난해 경북형 도심항공교통 프로젝트로 UAM 기술·산업생태계 형성, 신공항 연계 UAM 인프라 구축을 목표로 추진과제들을 발굴한데 이어 이번 연구용역 진행을 이어간다.
또 ‘도심항공교통 정책협의체’를 통해 팀 코리아 참여기관과의 활발한 교류와 산업경쟁력 확보에 대한 강한 의지를 드러내 지난해 말 UAM 팀 코리아에 합류하는 성과를 거뒀다는 평가다.
이는 윤석열 새 정부 국정과제로 2025년 UAM 상용화를 추진, UAM 제조산업 육성과 관련해서 국토부가 그랜드챌린지 추진과 하반기 UAM 특별법 제정으로 UAM 상용화에 박차를 가한다는 구상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이에 경북도는 올해는 정책협의체를 포럼, 세미나 등 다양한 형태로 운영해 경북의 UAM 상용화 방안 논의를 이어 나간다는 계획이다.이종팔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