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는 민선 8기 이후 반도체 전문인력 양성, 반도체 산업 육성 인프라 구축, 팹리스 지원 및 기업유치를 통해 반도체 산업 생태계 활성화를 가속화하고 있다. 이런 기반을 바탕으로 신공항 첨단산업단지에 대규모 반도체 집적단지를 조성하고 남부 경제권 미래 신산업 핵심 거점으로 도약할 계획이다.
그동안 대구시는 반도체 산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인력 양성 및 지역 대학 내 인프라 구축을 추진해 왔다.
그 결과 2024년 5월 경북대 반도체 특성화대학원이 선정되면서 장비 오퍼레이터에서 석·박사급 인력까지 연간 1,750명의 비수도권 최대 규모의 인력양성 체계가 완성됐으며, 기업 전용 센서 연구 및 위탁 생산을 수행하는 D-Fab(DGIST), 화합물 반도체 특화 반도체공동연구소(경북대) 등 인프라 구축을 통해 산학협력 활성화 및 전문인력 양성을 병행 추진하고 있다.
또한 대구시는 올해 하반기 반도체 개발지원센터를 개소하고 2025년에는 팹리스 검사·검증센터를 구축하는 등 팹리스 육성에도 매진하고 있다.
특히, 경북대(반도체특성화대학 및 대학원), DGIST(반도체 설계검증플랫폼 사업) 등의 반도체 전문인력을 수급할 수 있는 점은 팹리스 기업 유치의 주요 유인책이 되고 있어 국내외 팹리스 기업들이 대구로 모여들고 있다.
미국 실리콘밸리에 소재한 유니쿼화이의 한국법인인 대구 1호 팹리스 ‘아이디어스투실리콘’은 시스템 반도체 설계 및 IP 전문기업으로 지난 7월 대구시 산격청사에 사무실을 개소하고 내년 하반기 본사를 신축할 계획이다.
실리콘밸리에 본사를 둔 적외선 스펙트럼센서 전문기업 스트라티오 또한 한국법인 ‘에스티랩스’를 설립해 지난 6월 수성알파시티 내 SW융합테크비즈센터에 새로 자리를 잡았다.
국내 차량용 반도체 설계 전문기업인 ‘텔레칩스’는 2023년 7월 대구TP 대구벤처센터에 임시연구소를 개소하고, 경북대, 대구대 등의 우수한 지역 인력 8명을 채용, 올 하반기 수성알파시티에 대구연구소 건립공사를 착공할 계획이다. 비디오 IP(설계자산) 전문기업인 ‘칩스앤미디어’는 지난 4월 대구TP 대구벤처센터에 연구소를 개소하고 연내 지역 인력을 추가로 채용한다.윤기영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