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이 이번 주 '권영세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한다.
한동훈 전 대표가 사퇴한 지 2주일 만이다.
현재 여당은 비상계엄 사태와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 윤 대통령의 내란죄 혐의 수사가 이어지면서 앞날을 가늠하기조차 힘든 위기에 처한 풍전등화(風前燈火) 형국이다.
따라서 권 비대위원장 지명자는 권성동 원내대표와 함께 ‘계엄·탄핵’ 정국의 늪에서 빠져나올 탈출구를 찾는 것이 당면 과제로 꼽힌다.
일단 권 지명자는 윤 대통령 탄핵이 인용될 경우, 조기 대선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면서 당내 대권레이스 조정 역할을 할 적임자로 지명된 성격이 짙다.
앞서 권 지명자는 박근혜 전 대통령이 당선된 2012년 대선의 선대위 종합상황실장, 윤 대통령이 당선된 2022년 대선의 선대본부장을 맡았다.
다만, 당 '투톱'(대표·원내대표)이 모두 정치적 경륜이 깊은 5선 중진이지만, 동시에 친윤(친윤석열) 색채를 띤 정치인이라는 점은 쇄신의 강도 측면에선 한계로 작용할 수 있다.
첫 시험대는 오는 30일 비대위원장 취임 이후 발표할 비대위원 인선이 될 전망이다.
계파색이 옅은 원내 인사를 선수별로 안배할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는 상황이지만, 일부 소장파·비주류 목소리를 반영하거나 외부 인사를 발탁할 가능성도 있다.
당 핵심 관계자는 "3선으로 1명, 초·재선에서 각 1∼2명을 배정하는 방향으로 예상된다"며 "외부 영입이 쉽지 않은 상황이지만, 의견은 계속해서 수렴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 전 대표 시절 선임된 TK 김상훈(대구·서구) 정책위의장은 유임으로 가닥이 잡혔다. 또 사무총장에는 4선의 박대출(경남) 의원과 3선의 이양수(강원) 의원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권 지명자는 비대위 출범 직후 계엄 사태에 대한 대국민 사과를 하고 혁신위원회를 띄울 계획이다.
두 번째 시험대는 헌법재판관 임명과 쌍특검법(내란·김건희 여사 특검법)을 둘러싸고 야당과 팽팽히 대치하는 정치 현안이다.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범야권은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소추 이후에도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향해 정반대 요구를 계속하고 있어 권한대행을 승계하는 국무위원들을 겨냥한 'n차 탄핵' 가능성까지 거론되는 형국이다.
더욱이 헌법재판관 임명과 쌍특검법은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과 차기 대권 경쟁의 유불리로 귀결된다는 점에서 야당이 현재의 요구 사항을 철회할 가능성은 전혀 없다는 관측이 나온다.
또 다음 달 1일로 공포 시한이 다가온 쌍특검법에 대한 최 권한대행의 재의요구권 행사 여부도 정국을 뒤흔들 또 다른 뇌관이다.
국민의힘은 '행정부 수반'으로서 행사를, 야당은 즉각적인 공포를 각각 최 권한대행에게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원내지도부는 31일로 예정된 국무회의 전 의원총회를 열어 정식으로 최 권한대행에게 거부권 행사를 건의할 방침이다. 김상태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