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시공휴일 지정에 따라 엿새가 된 이번 설 연휴에 문을 여는 병원과 약국을 최대치로 늘린다.
또 전국 응급실에 전담 관리관을 두고, 응급실의 야간·휴일 배후진료 수가도 추가 인상한다.
정부는 지난 14일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 공휴일로 지정했다.
연휴 전주 주말인 이달 25일부터 30일까지 최소 엿새를 쉴 수 있는 셈이다.
특히, 31일에 연차 등을 사용할 경우 다음달 2일까지 최장 9일의 휴가가 생기게 된다.
16일 당정은 오는 22일부터 다음달 5일까지 2주간을 '설명절 비상응급 대응 주간'으로 지정하고 응급의료체계 유지를 위한 강도 높은 대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우선 연휴 기간 외래진료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병·의원, 약국 운영을 독려·지원하기로 했다. 전국 응급실 413곳에는 보건복지부·행정안전부·지자체 담당자를 기관별로 일대일 매칭해 운영 상황을 모니터링하기로 했다.
응급실 환자의 입원·수술 등 배후진료를 강화하기 위해 권역·지역 응급의료센터의 야간·휴일 수가 가산율을 현행 200%에서 300%로 올리기로 했다.
원래 평일의 150% 수준이었다가 지난해 추석부터 200%로 상향됐는데, 이번 설 연휴에 한해 추가로 늘리기로 한 것이다.
응급실 전문의 진찰료 250% 가산, 응급의료행위 150% 가산 등도 유지한다.
또 새해 들어 증가하는 호흡기 질환자는 발열 클리닉 115곳과 협력병원 197곳을 통해 집중적으로 진료한다.
이는 응급실 과밀화를 방지하기 위한 차원이기도 하다. 지역 응급의료기관과 응급시설에서 비중증 응급환자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도록 수가를 가산하기로 했다.
또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등의 이송·전원을 지원하고, 지역 단위 대응 체계를 강화하는 등 대책을 보완하기로 했다. 아울러 소아 진료를 위해 달빛어린이병원 103곳, 아동병원 114곳 등 의료기관이 야간·휴일에 최대한 운영하도록 독려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당정은 인플루엔자(독감) 등 호흡기 감염병 확산과 관련해 정부 관계부처 합동 대책반을 구성해 총력 대응하면서 표본 감시체계를 지속적으로 운영하고, 전국민에게 즉시 정보를 안내하기로 했다.
65세 이상·임신부·어린이 대상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은 계속 지원하고, 타미플루 등 치료제의 재고 물량을 모니터링하는 한편 정부의 비축분 활용도 적극적으로 검토한다.김상태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