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운영자
기초생활수급자 등을 유인해 고가 스마트폰을 개통시켜 단말기 IMEI(국제모바일 기기식별코드)값을 중고 휴대폰에 복제해 대포폰을 만든 뒤 이동통신 3사로부터 거액의 개통 보조금 등을 가로챈 일당이 경찰에 붙잡혔다.
IMEI는 각 휴대폰에 부여된 주민등록번호와 같은 것으로 분실·도난 단말기의 통화 차단 목적으로 관리·사용되고 있다.
서울경찰청 사이버안전과는 28일 김모(37)씨를 사기 등 혐의로 구속하고 조모(36)씨 등 6명을 같은 혐의로 불구속 입건했다고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김씨 등은 2014년 11월2일부터 올해 8월9일까지 복제책, 모집책, 환전책 등 역할을 분담한 후 생활정보지 광고를 보고 연락해 온 기초생활수급자 강모(56)씨 등 560명 명의로 고가의 스마트폰을 개통해 대당 50만원에 매입했다.
이들은 인터넷 A카페에서 100만원에 구매한 일명 'IMEI Changer'라는 휴대폰 복제 프로그램을 이용해 IMEI값을 중고 휴대폰 1184대에 복제했다. 이후 유심(USIM)을 뺀 즉시 아이폰6+(64GB기준 110만원) 등 고가 스마트폰을 대당 30만~70만원에 장물업자에게 처분해 3억9398만원 상당을 받아 챙겼다.
또 복제 휴대폰에 유심을 꽂아 개월에서 6개월간 개통을 유지시켜 이동통신 3사로부터 개통 보조금 2억9793만원을 가로챘다. 휴대폰 개통 4개월째부터 인터넷 모바일 상품권 등을 소액결제(3회 150만원) 사기로 10억1183만원상당의 부당이득을 취하기도 했다.
이들은 이같은 휴대폰 개통 사기로 모두 17억312만원 상당을 가로챘다.
사기를 당한 강씨 등은 수백만원의 폭탄 요금 피해까지 입었다.
생활정보지에 '즉시개통·당일현금, 즉시최대 지급 250만~1200만원'이라는 광고를 본 강씨는 생활비를 충당할 명목으로 지난해 9월 휴대폰 3대를 김씨 일당에게 개통해 주고 현금 150만원(대당 50만원)을 받았다. 그러나 수개월 뒤 단말기 할부대금, 소액결제 금액, 정보이용료 등 모두 875만원 상당의 폭탄 요금을 떠안게 됐다.
무직자 박모(24)씨는 지난해 1월 통신채무를 대납해 준다는 광고를 보고 채무 110만원을 대납 조건으로 김씨 등에게 휴대폰 3대를 개통해 준 뒤 400만원 상당의 폭탄 요금 고지서를 받는 신세가 됐다.
경찰 조사결과 이들은 아르바이트생을 고용해 'ARS(자동응답시스템) 세계시간 116번 발신하기(10분가량 자동안내 후 끊김), 유튜브 동영상 재생해 놓기, 복제 휴대폰 끼리 전화걸기 등 통화료와 정보이용료를 발생시키는 수법으로 통신사의 의심을 피해 왔던 것으로 드러났다.
경찰 관계자는 "도난·분실 단말기의 IMEI를 복제하면 동일 통신사는 사용을 막을 수 있지만 타 이동통신사의 경우는 정상 IMEI로 오인해 사용이 가능하다"며 "휴대폰 복제 프로그램 이용해 휴대폰 단말기에 부여된 고유번호 IMEI값을 복제하는 방식으로 휴대폰 본체 복제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김씨는 지난해 1월 인터넷 포털 B카페에서 'New DLL Tester'라는 IMEI 복제 프로그램(IMEI Changer)을 100만원에 구매해 휴대폰 개통사기에 사용했다.
경찰은 인터넷상 휴대폰 복제 프로그램 판매 사이트에 대해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유사한 범행이 더 있을 것으로 보고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